“’사과 한 알로 파리를 정복할 것이다.’” 후기인상파의 거장 폴 세잔의 말이다. 친구들은 세계적 화가의 꿈을 품은 세잔에게 파리로 나오라고 종용했다. 세잔은 화려한 도시 파리보…
[2020-01-27]‘ 눈이 아직 남았는데 어디서 봄을 찾으랴. 초당 남쪽 매화 가지에 꽃이 막 피려하네. 봄바람이 복사꽃 자두꽃 피워내기 전에 단단한 가지에 상큼한 향기를 먼저 알리네 ‘명나라 말…
[2020-01-25]한국 정치판은 고질적인 묵수(墨守) 즉 묵수는 옛습관이나 자기중심 의견이 지나치게 완고하고 기득권이 난무하면서 참신한 지식과 혁신을 창출할 새 바람이 비집고 들어갈 틈새가 없다는…
[2020-01-25]카톡에 아름다운 석양 사진을 보내온 지인께 그곳이 어딘가 하고 여쭈었다. 산책하는 집근처 ‘공원’이라며 당나라 시인 ‘이상은의 시’ 를 보내왔다.향만의부적(저녁쯤 마음이 울적하…
[2020-01-25]지난 연말 지상파 연말방송 시상식에서 ‘나혼자 산다’의 개그우먼 박나래가 2019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대상을 타면서 눈물과 미소가 범벅이 되어 어찌할 바를 모르는 것을 보았다…
[2020-01-24]사람이 살다보면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늙는다. 늙어진 후, 뒤돌아보면, 얼마 살지도 않았는데… 이처럼 내가 벌써 늙어버렸단 말인가 하고 한숨이 저절로 나온다. 하루하루 산다는 것…
[2020-01-24]다산(茶山) 정약용은 평생 500권이 넘는 방대한 저작을 남겼다. 조선말의 암흑기를 밝힌 선각자의 선두에 선 사람이 다산이다. 그 비결이 무엇인가. 천주교 박해시기에 사학(邪學)…
[2020-01-24]한 치 앞도 분간하기 어려운 짙은 안개가 이른 새벽의 출근길을 위태롭게 하더니 아침 내내 비가 내렸다. 늦은 오후가 되어서야 비가 그쳤고, 잠시 얼굴을 내밀던 겨울의 짧은 해는…
[2020-01-24]설날이라고 몇몇 식당에서 무료 떡국을 제공한다 해서, 플러싱에 있는 한 식당에 다녀왔다.한해 동안 이용해 주신 고객들을 위한다 하지만, 평소에 형편이 닿지 않아 들러보지 못한 분…
[2020-01-23]구세대라서 그런가? 미국에 오래살아도 가부장적인 문화에서 태어난 탓일는지, 여성으로 글을 쓰는 것이 쑥스럽고, 사람들, 특히 남성분들이 나이 많은 여성이 공적으로 생각을 발표하면…
[2020-01-23](지난 21일자 전망대 ‘거시기와 윤석렬’을 읽고서)인생을 사는 동안 한 점 부끄럼 없이 삶을 영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내가 아는 윤석열 검찰총장은, ‘윤석렬’이 아닐뿐 아…
[2020-01-23]■ 2020년은 경자년(庚子年) 쥐띠 해다. 쥐의 해에 태어난 사람은 식복과 함께 좋은 운명을 타고났다고들 한다. 최대식 화가가 한국일보에 장수와 복을 비는 쥐의 해 컷을 보내왔…
[2020-01-23]오는 25일 설날을 맞아 ‘설 퍼레이드 & 우리설 대잔치’ 가 다양하고 풍성한 한민족 전통문화 축제로 준비되고 있어 그 어느 해보다 기대가 되고 있다. 퀸즈한인회와 한국일보 공동…
[2020-01-23]한국은 한-미-일 군사동맹을 기반으로 동북아 패권을 유지해 온 미국의 핵우산 국가로서 군사무기기술 개발마저 제약받고 있지만 자주국방차원에서 전작권 환수는 물론 지소미아 종료마저 …
[2020-01-23]요즘 한국에서 유행하는 말로 ‘그린일베’와 ‘좌음’이 있다. 아마도 녹색 베레모를 착용하는 미육군특수부대 ‘그린베레’에서 따 온 것 같은데, 네이버의 이미지 색인 ‘그린(Gre…
[2020-01-22]현존하는 한국인들에게 있어서 가장 잊지 못할 수난의 시기는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은 지난 1905년 11월7일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는 을사조약 체결후 통감부를 설치하고 191…
[2020-01-22]날씨가 드디어 좀 겨울 다워졌다.이맘 때이면 벌써 서너번은 눈이 와서 교통이 마비되고 학교는 문을 닫고 했을텐데, 올 겨울은 아직까지는 혹한이나 폭설을 겪지 않고 있다. 겨울이 …
[2020-01-21]매년 새해가 되면 누구나 새마음 새각오로 맞이하고 또 새해를 맞곤 한다. 불과 며칠, 몇 주일, 몇 달 다 다르지만 새롭게 살아보겠다고 다짐해 보는 그 자체가 귀하다. 개인, 가…
[2020-01-21]올해로 한국전쟁이 발발한 지 70주년을 맞는다. 유엔은 북한의 남침 이틀 뒤인 1950년 6월 27일 “대한민국이 무력 침략을 격퇴하고, 국제 평화와 안전을 회복하는 데 필요한 …
[2020-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