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내가 라스베가스에 알고 지내던 내과 의사선생님이 나를 찾아왔다.너무 반가왔다. 나보다 두 살이 많은 선배라서 아주 친하게 지냈었다. 그분도 환자도 많고 바쁘게 지냈는데, …
[2016-09-13]5년 전 일이다. 65세 된 남자 환자가 처음으로 찾아왔다. 환자는 대단히 건강에 자신이 있었다. 혈압도 120/70으로 정상이었고, 당뇨병 등 지병이 전혀 없었다.술은 별로 하…
[2016-09-13]#발진대부분의 발진은 손가락으로 누르면 잠시 없어졌다가 도로 나타난다. 그러나 아기나 유아에게 좁쌀만한 빨간 발진이 가슴, 등, 팔이나 다리에 생기고, 손가락으로 눌러도 없어지지…
[2016-09-13]자궁경부암, 췌장암 등은 ‘빛’으로 치료하기도 한다. 빛을 받으면 활성산소를 뿜어 암세포를 죽이는 화학물질인 ‘광감작제’를 환자에 주입하고 암 부위에 빛을 쪼이는 것이다.그런데 …
[2016-09-13]삼겹살에 박힌 오도독뼈를 씹고 짭조름한 쥐포를 뜯어 먹을 수 있는 것은 모두 치아가 있어 가능한 일이다. 치아의 가장 단단한 표면을 ‘에나멜’(법랑질)이라고 하는데, 최근 이 부…
[2016-09-13]아기 치아가 변색됐다면 걱정해야 할까?최근 메이요 클리닉 인터넷판(mayoclinic.org)에 소개된 유치(젖니) 변색 문제를 간략히 소개한다.ㆍ양치질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경우…
[2016-09-13]아이가 머리가 아프다고 하면서 학교를 가기 싫어한다면 꾀병일까, 정말 아픈 것일까.어린이와 청소년의 경우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미국 국립두통재단(National H…
[2016-09-13]콘택트렌즈는 안전하고 올바르게 사용해야 각막 감염이나 시력 손상 위험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콘택트렌즈 사용에 능숙한 사람이라도 눈에서 빼는 것을 깜빡 잊고 그냥 착용한 채 잠에…
[2016-09-13]아기, 유아는 연약하다. 면역력이 약하고 미성숙해 아프기라도 하면 어떤 증상일 때 의사에게 바로 데려가야 할지, 좀더 차도를 봐도 되는지 헷갈릴 때가 있다. 최근 건강 의학정보 …
[2016-09-13]지금까지 인간의 미각은 단맛, 짠맛, 신맛, 쓴맛과 뒤늦게 추가된 감칠맛까지 주요 5가지 맛으로 분류됐다. 그러나 최근 인간이 ‘탄수화물 맛’이라는 ‘6번째 맛’도 느낄 수 있다…
[2016-09-07]담석증은 흔하지만 증상이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의사로부터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는 말을 듣게 된다.간 아래에 붙어 있는 담낭(쓸개)은 소화를 돕는 담즙을 분비하는데, 담…
[2016-09-06]비만은 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세계보건기구(WHO)산하 국제 암 연구소(IARC)는 올해 펴낸 암예방 핸드북과 관련해 지난달 25일 ‘뉴잉글랜드 저널’(NEJM)에 그 요약 내용…
[2016-09-06]임신 전후 체중과 임신간격 조절이 조산(임신 37주 이전 출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신시내티 아동병원 조산예방센터의 에밀리 디프랑코 박사는 임신 전 저체중…
[2016-09-06]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가리지 않고 현재 세계 각국 정부는 ‘비만과의 전쟁’에 시달리고 있다.비만은 당뇨·고혈압·심장질환·골 질환·수면무호흡증 등 다양한 신체 질환과 더불어 암까지…
[2016-09-06]또한 지난 해 알츠하이머협회 저널인 ‘알츠하이머병과 치매’에 보고된 시카고 러쉬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마인드’(MIND)라 불리는 식단을 철저히 지킨 성인에게서 알츠하이머병 위…
[2016-09-06]나의 뇌는 건강한가? 뇌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활성화 시키는 방법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최근 알츠하이머병협회에 따르면 2016년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미국인은 540만명으로 추…
[2016-09-06]유방암은 여성 10만명 당 40명 가량 걸릴 정도로 자주 발병하고, 환자 수도 늘고 있다.유방암 환자의 평균 5년 생존율이 82%에 이를 정도로 치료가 잘 된다는 게 일종의 위안…
[2016-08-30]#김모(49)씨는 2013년 폐암 4기 말기 진단을 받았다. 이미 수술은 늦은 터라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진행했지만 구토 등 부작용과 약 내성으로 상태는 더 악화됐다.절망하고 …
[2016-08-30]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해서 많은 양의 혈액을 잃을 경우에 수혈은 꼭 필요하다.특정 종교적 신념에 의해서 수혈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필요한 경우에 병원에서 수혈을…
[2016-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