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한인회 선거 바로잡자

2005-04-22 (금)
크게 작게
하세종(대뉴욕지구 태권도협회 이사장)

우리의 유일한 한인회가 ‘한인 무관심 속 공청회 마쳐’라는 기사에 따르면 ‘한인회 회칙 개정안에 대한 제2차 공청회가 한인들의 무관심 속에 불과 8명의 한인들이 참석했고 그나마 한인회 관계자들을 제외하면 5명도 못되는 인원이 참석해 공청회라는 취지를 무색케 했다”고 한다.

이와 관련 또 다른 언론에서는 ‘뉴욕한인회 총회 6년만에 개최’라는 기사 내용으로 오는 4월 6일에 실시될 총회가 300명의 의사 정족수를 채워 과연 총회가 열리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고 한다. 참으로 안타까운 한편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소위 대뉴욕지구의 50만 동포를 대표한다는 기구에 이렇게도 5명도 못되는 한인들이 관심을 보였다니 하는 말이다.


최근들어 한인회 회장 입후보 당시 논란이 되어온 수석부회장 문제 해결방안을 포함한 회칙 제정 및 개정안이 무산될 우려가 한마디로 말해 짙다는 예측이다.지금으로부터 약 45년 전으로 거슬러 가 보면 그 당시는 50년대의 유학생으로 채워진 친목단체의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한인들을 대표할 수 있는 기구의 필요성에 대두되어 뉴욕한인회가 탄생되었다. 이 기구는 60년대를 토대로 70~80년대를 거쳐 점차적으로 한인사회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면에서 ‘우리’를 보호해 줄 수 있는 단체의 필요성에 절대적인 공감대를 형성했던 것이다.

80년 상반기만 하더라도 뉴욕일원의 지역한인회의 활성화는 그리 활발치 못한 현상을 보였다. 그러나 각 지역마다 이민자 수가 증폭됨에 따라 지역사회의 권익 신장을 위한 각 지역 한인회는 물론 사업체의 이익과 권익을 장려하기 위한 직능단체의 역할로 인해 뉴욕한인회의 투철한 필요성과 실체성이 점차적으로 감소 내지 실추하게 된 것이다.이러한 실체성의 감소를 조속히 파악하고 한인회 명분 하에 뚜렷한 사업 목표를 설정하고 각 지역한인회와 직능단체의 사업에 상반되는 사업에만 치중하였더라면 오늘날 이렇게도 초라한 총회 개최 여부 위기라는 ‘토’는 달지 않았을 것이라 믿는 바다.

또한 무엇보다도 아쉬운 것은 지역한인회와 직능단체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80년 초기부터 연대감을 보다 성실히 형성하고 함께 하는 교류체제를 이룩하였더라면 오늘날 한인회의 존엄성과 필요성을 외면하는 단체와 동포들의 마음은 적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동포사회를 위한 뉴욕한인회의 뚜렷한 목표가 무엇인지 회장마다 제각기 다른 의견 하에 한인회의 중심을 잃은 체제로 중구난방의 방향으로 휩쓸려 가다보니 오늘날 뉴욕한인회 회장쯤은 ‘아무나’ 해도 상관 없다는 ‘자만’과 ‘오만’의 의식만이 지배하게 되어 입후보자 마저 동포사회를 조롱감으로 삼는 처세를 하게 된 것이라고 본다. 이것은 삼척동자도 용납할 수 없는 처사이며 다시는 동포사회가 받아들여서도 안 될 일이다.

대뉴욕지구 한인회는 금전문턱을 과세하여 없는 학벌의 문패를 걸어붙이는 어처구니 없는 집단이 아니라는 것을 한인회 정.부회장 입후보자들은 철두철명하게 인식하고 동포사회에 안면을 제대로 밝혀야만 한다. 물론 한인회는 실제로 공권력이 없는 봉사단체에 불과하여 입법이나 행정권도 없지만 동포사회를 위한 든든한 기둥 역할을 그 나름대로 해온 단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총회에서 단독후보인 경우 정, 부회장 후보자의 내역 공개와 확인, 그리고 정견발표에 따른 중견을 모아 정족수 과반수 이상의 찬성표를 받을 경우 정, 부회장으로 인정하는 절차의 체제로 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