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리더십(LEADERSHIP)에 대한 저의 생각

2025-04-28 (월) 12:00:00 수지 오 교육학박사·교육컨설턴트
크게 작게
리더십(LEADERSHIP)에 대한 저의 생각

수지 오 교육학박사·교육컨설턴트

늘 배우는 리더, 늘 책을 읽는 리더 (Leaders as Learners, Leaders as readers) 를 강조하는 저는 리더십에 대한 책을 자주 읽고 있습니다. 또 교육 현장에서 교장을 오랫동안 했을 때 리더십에 대해 무한한 호기심, 열정,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배우고 회상해봤습니다. 은퇴한 후에도 교육 및 리더십에 대한 강의 부탁이 많은 지금에도 계속 공부하고 읽고, 저의 배움과 경험을 공유하게 되는 기회에 대해 감사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제가 오래전 U.S.C.에서 Educational Leadership에 대해 박사학위를 얻으면서, 또 UCLA에서 AMP(Advanced Management Program)라는 리더십 training을 수년 전 받았을때 배운점 등도 저의 리더십에 대한 생각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제가 읽은 수많은 LEADERSHIP에 대한책들중 “TRUST & INSPIRE”라는 Stephen M.R.Covey가 쓴 책을 읽고 저의 리더십에 대한 철학과 너무 공감하고 구절구절이 가슴에 와 닿아서 제가 속하고 있는 어느 북클럽에도 이책을 소개 했습니다. 또 리더십에 대한 강의를 부탁받을 때 마다 이책의 내용을 인용합니다.


TRUST & INSPIRE 책에서는 옛날 구식의 Command & Control(명령, 통제)하는 리더십에서 탈피하여, 팀멤버 들의 가장 장점 ((Strengths)을 발굴하여 회사에 기여하도록 하는 리더십이 21세기에 통하는 리더십이라고 말합니다. (Leadership should provide a practical framework and process for bringing out the best in others.) Command & Control 은 직책이 가져오는 파워(positional power), 엄격한 규칙에 준함(rigid compliance), 고착된 상하관계(hierarchies)는 이젠 더 이상 통하지 않는 낡은 리더십 스타일이고 회사의 발전을 막게 된다고 합니다.

이 책에서는 리더는 각 직원들이 갖고 있는 위대함이라는 씨가 잘 자라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된다고 말합니다. (The job of leaders i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 seeds of greatness within people are able to flourish.).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창의성을 무시하고 간섭하는것(Micromanaging), 상하명령체계(hierarchies), 엄격한 규칙준수(rigid compliance)를 벗어나서, 융통성있는 자치(self-governance), 소속감(belonging), 협동 (collaboration), 이노베이션(innovation)이 필요합니다.

미국내 한국 커뮤니티의 한국단체에서는 아직도 회장, 이사장 등 직책, 지위만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있는 것 같습니다. 평회원들은 이사장이나 회장의 의견을 따라가야 되는 듯한 분위기입니다. 단체의 비전, 목적을 막론하고 회장이나 이사장이 바뀔 때마다 그 단체나 회사의 문화도 바뀌어서 좋은점도 있으나 지속성이 없는 단점도 있는 듯 합니다. 회사의 단기적, 장기적 목표를 세우고 TRUST & INSPIRE 같은 Leadership에 관한 책들도 다 같이 읽으면서 배울 자세가 있었으면 합니다. 서로 다른 의견을 인신공격으로 여기지 않고 서로 다른 견해를 마음 편하게 표현할수 있는 분위기를 리더가 조성했으면 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LEADERSHIP에 대해 공유하고 싶은 인용구:

1. “좋은 리더는 사람들이 그 리더에게 자신감을 가지게 합니다. 그러나 위대한 리더는 사람들이 각자 자신들에게 신임을 갖도록 희망을 가지게 합니다:(A good leader inspires people to have confidence in the leader; a great leader inspires people to have confidence in themselves. -Eleanor Roosevelt)

2. 리더가 되는 일은 당신이 가지고 있는 특권입니다. 리더는 각 직원, 회원들이 가능성을 발휘하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Being a leader is a privilege you have. Your job is about being able to help people realize their best potential. That’s what, in fact, is expected of you. -Satya Nadella, CEO of Microsoft

3. 요즘엔 명령, 통제의 리더십이 필요없고, 도전과 위기가 일어 났을 때, 모든 직원, 회원들의 지성, 능력을 동원하여 해결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In these troubled times, we don’t need more command and control; we need better means to engage everyone’s intelligence in solving challenges and crises as they arise.-Margaret Wheatley-

교육상담: drsuzieoh@gmail.com

<수지 오 교육학박사·교육컨설턴트>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