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한인사회 ‘올해의 인물’은?

2017-12-08 (금) 민병임 논설위원
크게 작게
미 시사주간지 ‘타임(Time)’이 매년 말 선정하는 ‘올해의 인물(Person of the Year)’에 ‘미투(Me Too, 나도 당했다)운동을 촉발한 불특정 다수의 여성이 선정되었다. 성희롱, 추행, 폭행 피해 사실을 공개한 이 여성들은 일명 ‘침묵을 깬 사람들’이라 불려진다. 이번 주 타임 발행본 표지사진에는 영화배우 애슐리 주드, 우버 엔지니어였던 수전 파울러,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 등 5명의 여성이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지난 10월초 할리웃 거물 제작자 하비 와인스틴의 성추문 고발로 시작되어 정계, 교육계, 언론계 등을 막론하고 연일 성폭력 고발이 진행되고 있는 중이고 성폭력 고발 캠페인 해시태그 ‘#미투’ 는 지금까지 최소 85개국에서 수백만 번이나 사용됐다고 한다.

직장의 을이라서, 권위 앞에서, 연봉 앞에서, 참고 넘어가고 덮어야 했던 여성들은 그동안 당해온 일들을 폭로하면서 앞으로는 약자라고 해서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을 결코 용납하지 말 것을 강조한다.


올해의 인물 2위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그 외 핵으로 계속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김정은 북한노동당위원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제프 베저스 아마존 최고경영자 등이 후보에 올랐었다.

이 타임지의 ‘올해의 인물’은 얼마나 독자들의 관심도가 높은 지 한인가정 집을 방문하여 깜짝 놀란 적이 있다. 자신감, 성취감, 재미삼아, 장난으로 등등 이유로 이 타임지 표지에 자신의 얼굴 사진을 넣어 인쇄한 가짜 타임지 표지를 거실에 걸어두었던 것이다.

올해의 인물은 특출한 활동으로 사회에 기여했거나 봉사로 타인의 모범이 된 사람, 한인이민 권익보호에 앞장 선 사람이 선정되어야 할 것 같다. 그러나 이번에 2위를 한 트럼프 대통령 같은 역발상 이유도 있다. 타임 편집장은 트럼프를 일러 ‘그는 대통령직의 본질과 백악관이 기능하는 방식을 바꿨다’ 고 설명한다.

무언가 화제가 되는 인물이 ‘이 해의 인물’ 감이 된다면 2017년 뉴욕한인사회 ‘올해의 인물’ 대상은 누가 되어야 할까.
한 달 좀 후인 내년 1월13일이면 미주한인의 날이다. 1902년 12월22일 102명의 청년이 제물포항에서 증기선 게일릭 호에 승선하여 하와이로 떠났고 1903년 1월13일 새벽 호놀룰루 항에 도착했다. 한국 최초의 공식이민이었다. 이민 1세대들의 희생과 교육열을 바탕으로 빈손으로 이민 와 도전과 시련을 이겨내고 성공한 이들이 많다. 이들 중에 ‘이 해의 인물’에 해당되는 한인은 무수하다.

지난 10월13일 뉴욕한인회관 이민사박물관에서 제막된 평화의 소녀상을 생각해본다. 이 소녀상은 캘리포니아 글렌데일(2013), 미시간주 사우스 필드(2014), 조지아주 브룩 헤이븐(2017)에 이어 미 전역에서 4번째, 동북부 지역에서는 첫 번째 소녀상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기리는, 치마저고리를 입은 짧은 단발머리 이 소녀는 몇 살일까? 제2차 대전당시 일본군 종군 위안부로 징용, 납치, 매매된 위안부 피해자 나이는 기준이 17세, 18세부터 30세까지라고 한다. 10대 소녀들은 일본 등지의 공장 여공으로 간다는 말에 속았거나 강제 납치되어 위안부로 팔려갔다.

이 평화의 소녀야말로 성폭행 피해자로써 성폭력 고발캠페인 ‘미투‘에 역사적인 인물로 등재되어야 한다. 마침 한국의 ‘2017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수상자로 영화 ’아이 캔 스피크‘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옥분 역으로 열연한 배우 나문희씨가 결정됐다고 한다.
옥분은 위안부 피해자임을 숨기고 동네 억척할머니로 영어를 배우고자 한다, 결국 여러 사건 후 위안부피해자로 미의회 청문회 증언대에 선다. 영화제관계자는 이로 인해 여성의 목소리와 여성의 이야기가 여전히 사회적으로, 산업적으로 의미 있는 선택임을 증명하는 기회가 됐다고 한다.

미투 캠페인이나 평화의 소녀상, ‘아이 캔 스피크’ 등이 화제가 되면서 지난 역사동안 짓눌리고 감춰지고, 참아야 하고 무시되었던 여성의 목소리가 조금은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 같다. 할 말은 하고 살아야지, 당신의 목소리도 볼륨을 조금 높이세요!

<민병임 논설위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