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기자의 눈/ 교육 대통령이 나와야

2006-12-13 (수)
크게 작게
김 진 혜(취재2부 문화·경제특집부장)


한국의 최근 여론조사에서 차기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이 꼽혔다. 두 번째는 빈부격차 완화와 복지증진 능력이었고 세 번째는 사회갈등 해소와 국민통합 능력, 네 번째는 정치개혁과 정치적 리더십, 다섯 번째는 남북관계 개선과 외교안보로 각각 조사됐다. 아직도 국민 대부분의 관심사는 민생고 해결이다. 청년 실업자 수가 위험수위에 달한 한국의 경제상황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가 주요 관심사일 것이다. 그런데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한국인들의 교육열을 감안할 때 심각한 사교육비 부담과 잘못된 교육정책 등 한국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해결에 대한 능력이 5위안에 오르지 않는 것은 의외였다.

청년 실업과 교육문제는 하나로 연결돼 있다.한국의 지나친 교육열과 잘못된 대학정책이 청년 실업 유발과 고학력층의 단순 육체노동자로 전락시킨 것과 사교육비에 따른 미국 조기유학 열풍이 세계 주류 언론에서 보도된 바 있다.어느 정도 먹고살만한 사람들이라면 외국에 있는 친인척에 맡겨 자녀를 조기 유학시키려는 것이 요즘의 실정이다.


살기 힘들어 내 나라를 떠나던 과거의 상황과는 달리 자녀 교육 때문에 아이를 조기유학 보내거나 이민 오는 중산층의 미국행 러시가 봇물을 이루고 있는 상황을 볼 때 미래 한국 인적자원의 고갈을 심각하게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인적자원의 해외 유출은 세계 최하위 수준인 한국의 출산율을 감안할 때 교육대책 마련이 시급하다.사회 각계각층에 뿌리박힌 학력, 인맥위주의 사회풍토 근절과 전문인 양성 등 건전한 교육풍토 쇄신과 남아도는 고급 인력의 적절한 활용 등 해결한 문제가 산재하다.

하루가 멀다 하고 바뀌는 현 교육풍토에서는 사회 및 경제 안정으로 이어질 청년실업문제 해결이 요원하다. 한국을 올바르게 이끌어갈 미래의 지도자들을 배출하려면 제대로 된 교육 대통령이 나와야 한다. 교육문제에 좀 더 관심을 갖고 교육 현장에서 오랜 잔뼈가 굵은 사람들이 모여 교육정책을 수립하고 건의해야 한다고 본다. 정치적 개혁보다 일관성 있고 장기적인 교육정책 마련을 위한 교육 개혁이 선행되어야 하지 않나싶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