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뉴욕총영사관, 민원처리 이렇게 하나

2006-05-17 (수)
크게 작게
이원일(우정공무원)

6월을 우리는 호국의 달이라 부른다. 6.25 한국전쟁이 일어나 나라 없는 국민이 될뻔 했기 때문에 유달리 생각되어지는 바가 많다.
3년 동안 이어진 한국전쟁에서는 약 300만명 이상의 남북한인들이 생명을 잃었고 미군도 3만7,000명여명 전사하였다. 이에 미국정부는 참전 미군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미국내 곳곳에 6.25 참전 기념비를 건립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미주지역에는 200여만명의 한인이 있고 메트로폴리탄 지역에만도 50여만명의 교민들이 있다. 그러나 우리가 과연 어디 어디에 참전비가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이를 생각해 보았으면 하는 취지에서 2004년 6월 10일 이후 여러 차례 뉴욕총영사관 담당자에게 6.25참전 기념비 위치를 전화문의 하였다. 그러나 아무런 통보가 없어 동년 6월 28일 등기우편을 발송, 공식문서로 통보해줄 것을 민원 요청해 보았다. 그러나 영사관의 확인이 없는 담당자 개인 서신으로 뉴욕일원 몇 곳을 기입, 편지를 보내왔다.
그래서 같은 해 8월 27일 2차 등기우편으로 재촉구한 바 있는데 그 결과 동년 9월 24일 영사관에서 사용한 용지(8X4)에 공문서로 효력 기준이 되는 표지의 필요 기재사항인 문서발송 책임자의 성명이나 싸인은 물론, 발송일자도 기입하지 않은 회신서를 송부받은 적이 있다.


이렇게 여러 차례의 서면질의에 대한 회신(사신 성격)이 영사관의 무성의한 처사로 여겨져 2004년 12월 28일 뉴욕총영사(문봉주)에게 3차 등기우편을 발송, 귀 관내 참전기념비 소재지를 파악하여 회신해 줄 것을 간곡히 요청하였다. 그러나 해가 지난 지금까지도 답신이 없어 실망스럽고 허탈하여 황당하기 그지없다. 만약 조사 기간이 필요해 시일을 요한다면 민원인에게 늦은 사유를 통보해 양해를 구하는 것이 공무를 집행하는 공직자로써 당연한 기본 자세이고 예의라는 것을 모르는지 묻고 싶다.
이렇듯 뉴욕총영사관은 민원 접수에서 민원인에게 결과 통보하기까지의 행정처리 능력이 기초도 안 돼 있고 중간에 답신이라고 보낸 문서를 보니 소규모의 법인체 수준의 문서 처리에도 못미쳐 과연 대외적으로 정부를 대표한 여타 외교행정은 어떻게 추진할까 의구심이 든다.

말로만 선진국 대열의 문턱에 와 있다고 홍보하나 이렇게 제반부수적인 면면을 본다면 허세로 보일 뿐이다.미국 곳곳에서는 이민자들에 대한 반감으로 걸핏하면 자기 나라로 돌아가기를 바라고 있는 미 주류 보수단체들의 핀잔을 수시로 접하고 있는 와중에 어떻게하면 미국인들로부터 본국정부나 교포 한인들에 대한 감정을 호의적으로 갖게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하면서 찾아내려고 하는 것도 재외공관 책무중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라 사료되는데 이를 간과하고 있는 것같아 매우 아쉽다.이 보수단체가 추진하는 사업이나 각종 선거시 정치인에 몇 푼 기부하는 것이나, 종교기관에서 일시적으로 헌금을 갹출, 전달하는 것도 좋지만 한국전쟁 동안 희생된 생명의 은혜를 잊지않고 있다는 것을 알리는 길은 6.25참전비를 찾아 주위를 청소하거나 한송이 꽃이라도 헌화한다면 한인들에 가지고 있던 여러가지 해묵은 감정도 눈녹듯 사라질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우리들의 거주지에서 가까운 공원 내에나 도로상에 참전기념비가 있다면 연중 열두번이라도 찾아가 보살피는 것을 동 지역에 방문하는 미국인들이 보거나 지역 커뮤니티 언론에 보도가 된다면 한인들에 대한 위상이나 재평가가 분명하리라 믿는다. 그래서 영사관으로부터 상세한 통보를 받는다면 이것을 지역별로 구분하여 본 란(지상보도)을 통해 많은 한인들에게 알려 전기와 같은 기대효과를 얻고자 하였으나 여의치 않은 것을 볼 때 관내 한인들의 민원을 하찮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문서수발에 대한 영사관 내 직원 자체 기본교육이 필요하고 교민들에 봉사하는 일념이 결여되어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으니 시정했으면 한다.부언하건대, 영사관 직원들의 교민들에 대해 우월감이 있지 않기를, 그리고 ‘임기동안 대과 없이 날짜만 채우고 떠나면 되지’하는 안이한 생각은 더더욱 갖지 않기를 총영사에게 한인들은 바란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