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틱톡, 미국 사업권 매각 앞두고 베테랑 대관담당 임원 영입

2025-11-25 (화) 11:31:49
크게 작게

▶ 츄 CEO, 전임 대관담당자 “미 정부 금지조치에 맞선 핵심인물” 평가

틱톡, 미국 사업권 매각 앞두고 베테랑 대관담당 임원 영입

틱톡 [로이터]

미국 내 사업권 매각을 앞둔 동영상 서비스 틱톡이 보잉 출신의 대관 담당 임원을 영입했다.

틱톡은 미주 지역 공공정책 책임자로 지아드 오자클리 전 보잉 대관담당 임원을 임명했다고 로이터 통신과 미 온라인 매체 악시오스가 25일 보도했다.

오자클리는 포드와 소프트뱅크에서도 대관 업무를 총괄했으며, 조지 W. 부시 대통령 시절 백악관에서 근무한 이력도 있다.


오자클리는 다음 달 1일부터 업무를 시작하게 되며, 지난 4월 이임이 예고됐던 전임자 마이클 베커먼은 글로벌 자문역으로 자리를 옮긴다.

쇼우 츄 틱톡 최고경영자(CEO)는 "지아드는 적극적인 소통과 교육, 투명성을 통해 신뢰받는 플랫폼이 되겠다는 우리의 사명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베커먼에 대해서도 "미국 정부의 금지 조치에 맞서 싸운 핵심 인물"이었다고 언급했다.

틱톡이 정부를 상대한 대관 담당 책임자를 교체한 것은 미국 내 사업권의 매각 시한이 다가옴에 따라 이에 대비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 의회는 지난해 중국 바이트댄스가 모회사인 틱톡이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넘기지 않으면 서비스를 금지한다는 내용의 이른바 '틱톡 금지법'을 제정했다.

틱톡은 당시 이에 맞서 위헌 소송을 제기했으나 연방대법원은 지난 1월 합헌 결정을 내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에서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에 합의했다고 밝히고, 해당 사업권을 미국 투자자들이 인수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틱톡 미국 법인의 가치가 약 140억 달러(약 20조원)로 평가될 것이라고 당시 언급하기도 했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달 말 미중 정상회담 이후 언론에 "중국 정부의 승인을 받는다는 점에서 틱톡 협정을 마무리했다"며 "몇 주 또는 몇 달 내에 (매각) 절차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틱톡의 미국 지분 약 50%는 오라클과 사모펀드 실버레이크 등이 인수할 것으로 전해졌다.

틱톡은 미국인 사용자가 1억7천만 명이 넘을 정도로 미국에서 인기가 높지만, 중국 회사의 자회사라는 점 때문에 중국으로 개인정보가 넘어가거나 해킹에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