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해원 노동법 전문 변호사
많은 한인 고용주들이 종업원이 오랜 시간 동안 화장실에 머물면서 근무를 제대로 하지 않는다고 필자에게 불평한다. 1분1초가 아까운 고용주들은 직원들이 화장실에 들어가 서 오래 있으면 속이 탄다. 그런데 건강상의 이유 때문에 화장실에 오래 있다고 직원에 게 뭐라고 야단을 칠 경우 잘못해서 고용법 위반이 될 까봐 그렇게 야단도 못 친다. 이런 문제는 한인 고용주들 뿐만 아니라 미주류 사회에서도 문제가 되어 왔다. 화장실에 들어가서 오랫동안 있는 것 뿐만 아니라 화장실에 자주 가는 것도 고용주의 입장에서는 신경이 쓰인다. 그럴 경우 이 직원과 사적인 대화를 통해 뭐가 문제인지 이해하고 그런 행동이나 문제에 대해 문서화하고 화장실 방문이나 휴식시간에 대한 회사 방침을 강조해야 한다.
만일 신체적인 건강문제 때문에 화장실 출입이 잦으면 이 이슈에 대해 미연방장애법 (ADA)에 의거한 적절한 배려를 이 직원과 대화를 나눠 야 한다. 만일 그렇지 않고 아무 이유 없이 화장실 출입이 많을 경우 이 직원에게 근무 태만이나 생산성 저하를 이유로 문서 경고를 주거나 이 직원의 임무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획을 세워야 한다.
1. 직원과의 사적 대화: (a) 대화를 부드럽게 시작해라: 이 직원을 사적으로 접근 해서 이슈에 대해 의논하고 화장실이 아니라 얼마나 휴식을 가는지에 촛점을 맞춰라.
(b) 주관식 질문을 해라: 건강상의 걱정이 있는지 아니면 개인적인 문제가 있는지 주관식으로 질문을 해라. 만일 건강상의 이슈가 없다면 이 직원의 휴식 시간을 관리하는 방법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 질문하라.
(c) 잦은 화장실 휴식의 영향을 설명하라: 이 직원의 잦은 화장실 방문이 전체 직원들의 임무 수행이나 회사의 생산성 등에 어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 명확하게 설명해 줘라.
(d) 직원의 행태를 모니터링해라 : 만일 직원의 생산성이 저하되거나 결근이 많아지 면 이 직원에게 화장실 이슈에 대해 말하기 전에 화장실 휴식의 길이, 빈도를 검토해라.
2. 모든 과정을 문서화해라: (a) 기록을 보관해라: 한인 고용주들이 가장 취약한 부분이 문서화인 데, 이 직원과 나눈 대화 날짜, 시간, 장소, 화장실 방문기간 등에 대한 기록을 보관해야 한다.
(b) 직원과의 대화를 문서화 해라: 직원과의 모든 사적 대화를 그 직원의 개인 파일을 위해 문서화하고 보관해야 한다.
3.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언급해라: (a) 만일 의학적인 조건이 드러나면: 만일 직원이 미연방장애법에 근거한 적절한 배려를 받을 자격이 있는 장애를 가지고 있다 면, 인사팀과 의논해서 더 자주 아니면 더 긴 화장실 방문 시간을 제공해주는 것 같은 적절한 배려를 제공해줄 지 결정해야 한다. 그렇지만 그런 배려나 제공이 회사에 엄청 난 어려움을 주면 안 된다.
(b) 만일 건강상의 문제가 이유가 아니라면: 휴식과 생산 성 기대치에 관련된 회사 방침을 이 직원에게 명확히 알려주고 이 직원이 회사 방침을 이해하고 생산 목표를 못 채웠을 경우 그 결과에 대해 이해하고 있도록 확인해야 한다.
(c) 만일 이런 행동이 계속되면 잠재적인 기저 이슈에 대해 이 직원과 의논해야 한다. 즉, 화장실 방문이 스트레스의 징후인지 아니면 전화기를 사용하기 위한 기회인지 파악 해야 하고 그렇다면 회사내 업무 과다나 전화기 사용 방침에 대해 언급해야 한다.
4. 필요하면 공식적인 대처방안을 세워야 한다: 만일 이 이슈가 계속 되고 이 직원의 업무 생산성이 낮으면 주류사회 인사팀에서 많이 세우는 업무수행 개선계획(Performance Improvement Plan (PIP)을 세워서 이 이슈에 대해 구체적으로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PIP는 구체적인 문제점을 열거하고 기대되는 개선상황을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할 타임라인을 정해야 한다.
5. 구체적인 이슈를 고려:
(a) 화장실 휴식 방침을 재고한다: 명확하고 공정한 화장실 휴식 방침이 있는지 확인.
(b) 모든 직원들을 지원해줄 수 있는 넓고 깨끗하고 편안한 화장실을 제공해야 한다.
(c) 직장환경을 검토해라: 만일 자주 화장실을 가는 이유가 스트레스를 주는 근무환경 때문이라는 사인이면 그 환경을 재검토하고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문의: (213) 387-1386
이메일: haewonkimlaw@gmail.com
<
김해원 노동법 전문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