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총리 ‘대만 개입’ 발언 겨냥 中 공세 수위 강화…中해경은 센카쿠열도 순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31일(한국시간) 경주에서 열린 중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가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에 격렬한 반응을 쏟아내면서 연일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관영 중국중앙TV(CCTV) 계열의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은 15일(이하 현지시간) 게시물에서 중국 정부가 최근 "모든 후과(나쁜 결과)는 일본이 져야 한다"와 "(중국이) 반드시 정면 공격(迎頭痛擊)을 가할 것"이라는 표현을 쓰고 있다며 "이런 표현들은 중국이 이미 실질적 반격(反制) 준비를 마쳤다는 신호를 발신한다"고 썼다.
이 매체는 대(對)일본 제재와 양국 정부 간 교류 중단을 중국의 대응 수단으로 꼽았다.
'위위안탄톈'은 "중국은 대만 관련 문제에서 이미 충분한 반격 경험을 축적했으며, 외교부의 기존 제재 리스트에서 약 80%의 상황에 대만 문제가 포함돼있고, 이 가운데는 일본 정객도 적지 않다"면서 "필요하다면 중국은 언제든 유사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매체는 '일본과의 경제·외교·군사 등 층위의 정부 간 교류 중단'을 대응책으로 제시하면서 "중국은 과거 '모든 후과'를 언급할 때 실제로 일부 수단을 채택(실시)한 바 있다"며 "알아야 할 것은 중국이 일본 최대 무역 파트너이고 적지 않은 일본 상품이 중국 수입에 '고도로 의존'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매체는 특히 14일 오후 중국 외교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 자제를 당부한 것을 두고는 "국면에 실질적 위협이 존재한다는 것이 당국에 의해 인정됐다는 의미"라며 "이것이 일본 정부의 잘못된 행동이 일본 사회에 만든 부정적 외부효과가 구체적으로 드러난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위위안탄톈'은 중국 외교부 직속 싱크탱크 중국국제문제연구원의 샹하오위 연구원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최근 동원하고 있는 '정면 공격'이라는 표현이 "단순한 외교적 수사일 뿐 아니라 명확한 군사적 의미를 갖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자국의 랴오닝함·산둥함·푸젠함 등 항공모함 세 척과 이달 시험 항해에 들어간 경항모 쓰촨함, 둥펑 탄도미사일 등이 '정면 공격'의 의미를 일본에 가르쳐줄 것이라고 위협했다.
이 매체는 "요 며칠 일본에 불만을 표한 나라는 중국만이 아니고, 다카이치 사나에 취임 후 그 발언과 동향은 러시아·한국 등 주변 국가의 공개적인 비판과 경계를 받았다"며 "일본에 대한 중국의 이번 항의는 일본에 대한 엄정한 경고일 뿐만 아니라 국제 사회를 향한 질서 수호 행동"이라고 덧붙였다.
다카이치 총리는 지난 7일 중의원(하원)에서 일본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는 일본이 집단 자위권(무력)을 행사할 수 있는 '존립위기 사태'에 해당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의 발언에 격앙된 중국은 연일 고강도 비난을 쏟아내고 있으나, 다카이치 총리는 발언을 철회할 생각이 없다고 선을 그은 상태다.
중국 정부와 관영매체들이 쓰는 표현 역시 갈수록 험악해지고 있다.
중국 외교부는 13일 대변인 명의로 "대만 문제에서 불장난을 해서는 안 된다. 불장난을 하는 자는 스스로 불에 타 죽을 것(玩火者必自焚)"이라고 경고한 뒤 늦은 밤에 가나스기 겐지 주중 일본대사를 초치해 압박했다.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이튿날 "위험을 무릅쓴다면 머리가 깨지고 피를 흘릴 것(頭破血流)"이라고 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나 중국군 기관지 해방군보도 잇따라 직설적 비난 논평을 실으며 힘을 보태는 중이다.
중국은 '실력 행사'에도 나섰다.
중국 해경국은 16일 해경 1307함정 편대가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를 순찰했다고 밝혔다.
중국은 영유권 분쟁 지역인 센카쿠 열도 주변 순찰 소식을 수시로 공개하며 영토·영해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명분을 쌓아왔고, 일본이 자국의 이른바 '핵심 이익'을 침해하는 듯한 발언·행동을 할 때마다 해경선을 보내 무력시위를 벌였다.
중국 교육부는 이날 "최근 들어 일본 사회 치안이 불안하고 중국인을 겨냥한 위법한 범죄 사건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며 중국 학생들이 일본 유학 계획을 신중히 세워야 한다는 '자제령'을 내리기도 했다.
중국 외교부는 전날 일본 방문 주의보를 발령하고 중국국제항공(에어차이나)·중국동방항공·중국남방항공 등 주요 항공사들이 일본행 항공편 무료 취소에 나섰다. 홍콩 정부 역시 주민들에게 여행 주의를 당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