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트럼프발 무역 파편화로 글로벌 GDP 최대 9% 증발”

2025-01-06 (월) 12:00:00 샌프란시스코=이태규 특파원
크게 작게

▶ “무역불확실성, 코로나 보다 높아”

▶ “미중 무역전쟁 시 중 타격 더 ↑”

올해 전미경제학회의 화두는 단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의 경제정책이었다. 3~5일(현지 시간) 여러 세션이 동시다발적으로 열렸는데 트럼프 정책을 성토하는 지적이 대다수였다. 특히 트럼프의 관세 폭탄이 세계무역을 갈기갈기 찢는 파편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필립 레인 유럽중앙은행(ECB)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유럽 등 서방과 중국·러시아 등 반서방 진영의 향후 무역 디커플링(탈동조화) 정도에 따른 파장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했다. 우선 ‘완만한(mild) 디커플링’ 시나리오는 전 세계의 완전한 무역자유화가 시행되기 전인 1990년대 수준으로 무역 파편화가 진행되는 경우를 가정했고 이때 전 세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약 2% 감소하는 것으로 나왔다. 첨단기술·에너지 등 상대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제품에만 높은 무역장벽이 세워지는 ‘선택적 디커플링’에서는 약 6%가 증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무역장벽이 크게 높아져 양 블록의 무역 흐름이 사실상 중단되는 것을 가정한 ‘심각한 디커플링’ 시나리오에서는 약 9%가 증발되는 것으로 산출됐다.

트럼프 당선 이후 ‘세계 무역정책 불확실성지수(TPU)’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는 진단도 나왔다. 모리스 옵스펠드 UC버클리대 교수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경제학자 다리오 칼다라 등이 고안한 TPU를 인용해 “무역정책 불확실성지수가 트럼프 1기 때 급등했다가 조 바이든 시대 낮아진 반면 현재 다시 최고치로 치솟았다”고 밝혔다. 트럼프 1기 때인 2018년 3월 철강, 알루미늄 관세 방침이 발표됐을 때 지수는 261로 치솟았고 이후 하락하다 2020년 12월 코로나 때 98로 반등했다. 향후 미중 무역전쟁이 격화하면 양국 모두에 해가 되겠지만 특히 중국의 피해가 더 클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샌프란시스코=이태규 특파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