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울에 겨울용 모자나 목도리처럼 타인과 개인용품을 함께 쓰는 습관이 두피 곰팡이 감염인 ‘두피 백선’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에 흔히 쓰는 산타 모자 같은 소품도 감염 경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의가 당부된다.
26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은 지난해 봄부터 영국 내 두피 백선 감염 사례가 급증했다며, 특히 겨울철에는 “모자 공유 금지”가 중요하다고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위생 관리가 미흡한 저가형 이발소가 감염 확산의 주요 진원지로 지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피부·모발 전문 업체 Este Medical Group CEO 샘 신키르는 “백선은 수건, 빗, 베갯잇, 모자처럼 머리나 피부와 닿는 개인용품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가장 쉽게 전염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항진균제나 전용 샴푸로 치료할 수 있지만, 방치하면 보기 흉한 탈모 반점이 생길 수 있다”며 모자 등 개인 물품 공유를 절대 피할 것을 강조했다.
두피 백선은 접촉 전염성이 매우 강한 곰팡이 감염으로 △심한 가려움 △탈모 반점 △고리 모양의 비늘성 발진 △붉은 돌기 등의 특징을 보인다. 특히 두피가 닿았을 가능성이 있는 모자·침구·의류 등을 청결히 세탁하지 않을 경우 가족 구성원 전체로 빠르게 퍼질 수 있어 더욱 조심해야 한다.
영국 국가보건서비스(NHS) 의사이자 WHO 기술자문그룹(TAG) 전문가인 제임스 오도노번 박사도 “곰팡이는 생각보다 오래 생존한다”며 “특히 모자 공유는 감염 위험을 크게 높인다”고 경고했다. 그는 어린이가 감염된 경우 “학교 교사, 반 친구의 보호자에게 반드시 알려 조기 대응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족 내 전파 방지를 위한 조치도 제시됐다. 오도노번 박사는 “가족 구성원 중 감염자가 있거나 감염이 의심된다면, 비감염자라도 4주 동안 주 2회 항진균 샴푸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는 어린이·청소년이 학교나 학원, 집에서 모자나 머리용품을 서로 공유하는 과정에서 감염이 빠르게 번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백선은 영국에서도 인구의 10~20%가 평생 한 번 이상 경험할 정도로 흔한 질환”이라면서도 “겨울철처럼 실내 활동이 늘고 개인용품을 공유하기 쉬운 시기에는 한 번의 부주의가 감염 확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마지막으로 전문가는 “모자 공유를 피하고 의심 증상이 보일 때는 침구·모자·빗·수건을 분리해 관리하며 항진균 치료를 신속하게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한 예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서울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