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격차 200억달러·역대 최저
▶ 순위도 2계단 상승 ‘추격’
올해 1∼11월 한국과 일본의 대세계 수출액 격차가 역대 최저 수준인 202억달러 수준으로 좁혀졌다.
같은 기간 세계 10대 수출국 중 한국의 수출액은 9% 증가했다. 수출액 순위도 지난해보다 두 계단 뛰어오른 6위를 기록해 5위인 일본을 바짝 추격했다.
다만 올해와 같은 수출 호실적이 내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역기저 효과와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 미중 갈등 심화 등이 내년 한국 수출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소들이다.
29일 한국무역협회가 일본 재무성의 수출액 잠정치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1월 한국의 대세계 수출액은 6,223억8,6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일본(6,425억9,800만달러)과 격차는 202억1,200만달러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한일 수출액 격차가 200억달러 수준으로 좁혀진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양국간 수출액 격차는 2010년 3,036억달러에서 2013년 1,552억달러로 줄어든 이후 2021년(1,116억달러)까지 8년간 1,000억달러대를 유지했다. 이후 2022년 632억4,000만달러, 지난해 850억3,500만달러를 거쳐 올해 역대 최저수준을 기록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세계 10대 수출국 순위에서 한국은 6위, 일본은 5위에 각각 올랐다.
한국은 2022년 6위에서 지난해 8위로 떨어졌다가, 올해 6위를 회복했고 일본은 최근 3년간 5위를 유지했다.
올해 한국의 경우 전체 수출의 54.9%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중국·아세안 수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수출 실적이 개선됐다.
김나율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IT 경기 회복으로 한국 반도체·컴퓨터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화장품·의약품 등 품목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확대된 점이 일본과의 수출액 격차를 좁히는 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일본은 주력인 자동차·조선·중간재 등 산업이 중국과 한국 등의 도전으로 고전하고 있고, 주요 기업들의 해외 생산기지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메이드인 재팬’ 제품의 수출량 자체가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