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세상만사 - 발효문화

2023-01-17 (화) 최효섭/목사•아동문학가
크게 작게
한국문화는 발효문화이다. 밥도 쌀이 익었다고 퍼 먹지 않는다. 뜸을 들여야 한다. 김치도 담그고 오래 기다린다. 간장 고추장 된장 막걸리 감주 등 모두 담근 뒤 한참 동안 기다려 먹는다.

한국문화는 기다림의 문화이다. 고전인 춘향전, 심청전 등은 모두 참고 기다리는 이야기들이다. 뜸을 들여야 하는 것이다. .
내가 맨하탄에서 목회 할 때 점심 먹으러 자주 가던 중국집이 있다. 그 주인이 “한국 사람은 음식을 빨리 먹는다”고 하였다. 내가 웃으며 “전쟁을 겪으며 그런 습관이 되었다”고 적당히 대답하였지만 먹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모든 것은 천천히 하는 것이 한국인의 특색다. 느린 성격이 아니라 천천히 움직이는 것이 한국인이다.

나의 할아버지는 원님(현재의 도지사격)의 호위대장으로 호걸이었다. 건너 마을에서 술 한 잔 하고 작은 산언덕을 넘어 오는데 호랑이가 뒤따랐다. 무섭지만 호랑이 앞에서 달리면 죽는 것과 같다고 하니까 할아버지는 천천히 걸으며 호랑이에게 이야기를 계속 하였다고 한다. “너는 산 중의 왕이지만 나는 사람 사이에서 가장 힘이 센 호걸이다.


싸울테면 싸워보자” 호랑이는 배가 고프지 않았던지 끝내 공격을 안하고 따라만 오다가 사라졌다고 한다. 할머니가 이 이야기를 들려 주면서 “남자는 아무리 급한 때라도 참고 기다릴 줄을 알아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참는 인내, 기다림의 인내가 필요하다. 조바심을 내는 것은 한국인답지 않다. 잘 기다릴 줄 아는 사람이 회사에서도 성공하고 가정생활도 원만하다.

대화를 할 때 상대의 말을 지긋이 들으며 그의 말이 끝나기를 기다렸다가 차례가 되면 자기의 말을 해야 한다. 상대의 말을 경청하지 않고 자기가 할 말을 생각하는 것은 좋은 대화법이 아니다. 잘 들어주어야 상대도 내 말을 주의해서 듣는다.

발효문화는 뜸을 들이는 문화이다. 좀 더 느긋해져야 한다. 태도가 어쩐지 바빠 보이는 사람이 있는데 좋지 않다. 밤낮 시간이 없다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시간은 넉넉한데 마음이 급한 것이다. 시간에 끌려 살지 말고 마땅히 자기가 시간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 남의 시간이 아니라 내 시간이다.

나는 투석(dialysis) 환자이다. 췌장(kidney)의 기능을 잃어 피를 기계에 넣어 청소를 하는 작업을 이틀에 한 번씩 네 시간 동안 받아야 한다. 이미 8년 동안 매주 세 번씩 병원에 가서 이런 작업을 한다. 이 치료는 몹시 지루하기 때문에 인내의 싸움이다. 나와 함께 치료를 받는 환자 한 사람이 “이런 병을 앓다니 우리는 저주를 받은 거여요”하고 말하였다. 나는 “내가 믿는 하나님은 사람을 저주하는 신이 아닙니다”하고 대답하였다.

이런 병을 통하여 하나님이 나의 인내심을 시험하시는 것으로 알고 끈질기게 병원에 가서 전쟁을 치르고 온다. 누구나 고통이 있다. 포기하지 말고 싸워야 한다.

인생 고해(苦浿)라고 옛부터 말해온다. 건강상의 고통, 직업의 고통, 인간관계에서 오는 고통, 민족적인 고통, 가정의 고통 등 괴로움을 겪다가 죽는 것이지만 고통과 싸우며 기쁨도 있고 보람도 있다. 고통이 없는 이상향을 천국이라 혹은 극락이라고 모든 종교가 말한다.

기어다니는 아이 앞에 장애물을 놓는다. 장애물에 대하여 아이의 태도는 세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장애물을 보자 전진을 포기하고 돌아서는 아이, 둘째는 장애물을 돌아서 가는 아이, 셋째는 장애물을 밀어 젖히고 전진하는 아이다.

셋째가 긍정적 인생관, 첫째가 부정적 인생관, 둘째는 적응적 인생관이다. 상황에 적응하며 사는 것도 방법이지만 문제에 부딪쳐 해결하는 태도가 바람직하다. 이런 인생관을 전투적 인생관이라고도 말한다. 이 싸움에 이기는 것을 성공이라고 말한다.

<최효섭/목사•아동문학가>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