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인격의 고수가 되라

2020-03-13 (금) 김창만/ 목사·AG뉴욕신학대학(원)학장
크게 작게
“한번은 링컨 대통령의 참모 오웬 러브조이가 대통령의 서명이 담긴 문건을 가지고 에드윈 스탠턴 국방 장관을 찾아갔다. 하지만 그는 명령서를 쳐다보지도 않고 무시해 버렸다.
러브조이가 말했다. “이것은 대통령의 명령입니다. 잘 살펴보십시오.” 스탠턴이 비웃으며 물었다. “아니 정말 링컨이 이런 천치바보 맹꽁이 같은 명령을 내렸단 말이요? 나와는 상관없으니 돌아가시오.”

백악관으로 돌아온 참모는 국방 장관실에서 있었던 일 그대로 링컨에게 보고했다. 링컨이 말했다. “정말 그 친구가 나더러 천치바보 맹꽁이라고 하던가?” “예, 그것도 여러 번 그랬습니다.” 참모가 기가 막힌 표정으로 대답했다.

링컨은 한참 무엇인가 곰곰이 생각하다가 얼굴을 쳐들면서 이렇게 말했다. “스탠턴이 정말 나더러 천치바보 맹꽁이라고 했다면 아마 그게 사실일거야. 그 사람 말은 대개 맞으니까... 그리고 그 사람은 성질이 좀 급한 것이 탈이지 속에 없는 말은 안 해. 내가 직접 가서 만나보고 내게 무슨 탈이 생겼는지 자세히 알아봐야 겠어.”(도리스 굿윈의 ‘권력의 조건‘’ 중에서)


링컨은 얼마나 침착하고 의연한가. 링컨의 내면은 화강암처럼 단단하면서도 겉은 솜털처럼 부드럽고 온유했다. 문자 그대로 그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리더였다. 나중에 링컨의 말을 전해들은 스탠턴은 큰 감화를 받았고, 결국 링컨의 측근 각료가 되었다.

훗날 링컨이 남부의 암살범이 쏜 총에 맞았을 때, 제일 먼저 달려온 사람이 스탠턴이었다. 그가 운명하는 순간 침상에 무릎을 꿇고 앉아 “이제 링컨은 모든 시대를 초월한 위대한 인물이 되었다”라고 크게 애도한 사람도 스탠턴이었다.

어떤 라이벌까지도 끌어안고 동지로 만든 링컨은 과연 큰 리더였고 반대자의 사람의 마음을 얻는 인간관계의 대가였다. 그리고 어느 누구도 따라 올수 없는 인격의 고수(高手)였다. 인격의 최고봉은 책임감이다. 책임감이란 남의 허물과 약점을 대신 끌어안는 것이다. 누구든지 남의 허물과 약점을 용감하게 책임질 때 그 사람은 그때부터 리더다.

<김창만/ 목사·AG뉴욕신학대학(원)학장>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