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신천옹(信天翁)!’

2016-08-08 (월) 연창흠/ 논설위원
크게 작게
최근 잘 아는 사람이 사이클 버디를 했다. 다른 지인은 앨버트로스를 기록했다. 주변에서 홀인원의 행운을 안은 사람들은 수두룩하다. 버디만 해도 짜릿한 입장에선 그저 부러울 따름이다.

골프는 어렵고 복잡하다. 정복하기가 쉽지 않다. 그런 까닭에 도전의 매력이 있다. 장점은 재미있는 것. 단점 역시 너무나 재미있는 것이다. 주말골퍼들은 라운딩 약속만 잡혀도 흐뭇하다. 실전을 앞두고 연습할 때도 좋다. 골프장 잔디만 봐도 가슴이 확 트인다. 티 그라운드에서 장타를 날릴 때는 세상 부러울 것이 없다.

‘연필 길다고 공부 잘하냐?’는 구찌(?)엔 신경 안 쓴다. 세컨드 샷을 할 때는 핀에 가까이 붙이려는 긴장감에 짜릿하다. 그린에 못 미쳐도 실망하지 않는다. 어프로치나 칩샷으로 붙이면 될 일. 홀인 시켜 버디를 잡아내는 행운이 따르면 금상첨화.


퍼팅도 마찬가지다. 그린 위에서 좌우 경사와 오르막, 내리막 정도를 읽는 재미는 쏠쏠하다. 알맞은 스피드의 스트로크는 손바닥 느낌부터 다르다. 홀컵의 ‘땡그랑’ 소리에 한 주의 스트레스가 몽땅 날아간다. 몇 번이나 놓친 숏 퍼팅의 씁쓸한 기억도 사라져 버린다.

주말골퍼들의 스코어는 라운딩 하는 날의 ‘운’이 좌우하기 십상이다. 실력도 운을 이기지 못한다. 정말 운이 나쁜 날이 있다. 잘 맞은 공이 한 뼘 모자라 벙커에 빠진다. 반 바퀴 모자라 홀컵 앞에서 멈춰 선다. 들어가다가 돌아 나오기도 한다. 나이스 샷이 도로를 맞아 해저드로 들어가면 그나마 다행. OB(Out of Bounds)가 되면 속이 부글부글 끓어오른다. 그런 날은 페어웨이로 잘 간 공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하루 종일 귀신에 홀린 기분이다.
정말 운이 좋은 날도 있다. 슬라이스가 나무를 맞고 페어웨이에 떨어진다. 뒤땅을 쳐도 굴러서 홀컵 옆에 붙는다. 빗맞은 샷이 깃대를 맞고 홀로 빨려 들어갈 때도 있다. 그래서 운수대통 홀인원도 나온다. 흔히 홀인원을 실력보다 행운이라 하는 이유다.
골프 스코어에는 새들이 등장한다. 기준 타수인 파(Par)보다 1타 작은 스코어는 작은 새인 ‘버드(bird)나 버디(birdie)가 된다. 이 용어는 1903년 애틀랜타에 사는 스미스라는 골퍼가 파4홀에서 두 번째 샷이 홀 근처에 사뿐히 내려앉자 “That’s a bird of a shot”이라고 말한 데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2언더파는 독수리인 이글(eagle). 더블 이글이라고 칭하기도 하는 3언더파는 날개가 제일 큰 새인 앨버트로스에서 따왔다. 남미에 서식하는 거대한 독수리인 콘도르(condor)는 4언더파. 5언더파는 타조인 오스트리치(ostrich)라 한다. 파5홀이나 파6홀에서 각각 홀인원 시켜야 하는 콘도르나 오스트리치는 꿈의 스코어다. 하지만 아마추어 장타 골퍼들이 아주 드물게 파5홀에서 앨버트로스를 할 때도 있다.
새 중에서 날개가 가장 큰 앨버트로스는 속칭 ‘바보새’로 불린다. 날개가 너무 커서 뒤뚱거리며 걷는다. 평지에서 날기 위해 안간힘을 쓰며 뛰어간다. 공중에서 날다가 평지에 내릴 때는 날개를 편 채로 곤두박질하거나 넘어지기 일쑤다. 바보새로 불리는 이유다. 하지만 바람이 거세지면 달라진다. 다른 새들이 폭풍과 비바람으로 자취를 감출 때 오히려 날개를 펴기 시작한다. 바람이 강하게 불면, 바람 끝에 올라가 글라이딩을 한다. 나는 것의 99%는 바람의 힘만 이용한다. 날개 짓은 기껏해야 1% 미만이다. 바람에 몸을 맡기는 것이다. 그래서 쉽게 높이 날고, 멀리 날고, 오래 난다. 하늘을 믿고 날아가는 셈이다. 그래서 하늘의 뜻을 믿는 노익장이란 ‘신천옹(信天翁)!’이란 칭호를 얻었다.

생태를 살펴보면 사람과 참 닮았다. 수명이 50-85년으로 사람만큼 장수한다. 게다가 수컷은 천생연분 짝을 찾는 게 낭만적이다. 개성 넘치는 춤사위로 구애한다. 결혼하면 불륜이니 이혼이 없다. 백년해로한다. 일 년에 알은 딱 하나만 낳는다. 부부는 번갈아 잘 삭힌 음식을 토해내 먹이며 새끼를 극진하게 돌본다. 이들에게도 자식농사가 중요한 일인 셈이다.

어찌 보면,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신천옹의 모습을 배워야 한다. 그들처럼 고난 속에서 오히려 유유자적하고, 고난을 이기는 가운데 침착하고, 그리고 열악한 환경에서도 담대하게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신천옹 부부 새들의 ‘백년해로’하는 모습이야말로 꼭 본받아야 할 삶이 아닌가 싶다.

<연창흠/ 논설위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