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서 가격 폭등…무상공급 위한 예산부담 5년새 4배
한국 교육부가 뉴욕총영사관 관할지역내 일부 한글학교를 대상으로 무상 공급하고 있는 교육용 교과서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는 교과서 값 때문에 보급에 차질이 발생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8일 교육부에 따르면 올한 해 300만 달러를 들여 해외 한국학교 34곳, 한글학교 1,181곳, 한국교육원 39개원에 교과서 47만여권, 교재 18만4,000여권, 교사용 지도서 4만5,000여권을 무상 공급하기로 했다.
하지만 지난 2010년 가격 자율화 정책 도입 이후 천정부지로 치솟은 교과서 값 때문에 재외국민 교육에 필요한 교육용 교과서·교재 공급을 위한 예산부담이 5년 만에 4배로 급증해 2015년 100% 무상 공급계획인 재외동포 교육용 교과서·교재 보급사업에도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2010년 가격 자율화 도입 이후 100만달러였던 재외동포용 교과서 구입예산 부담은 2011년 150만달러, 2013년 220만달러, 올해는 300만달러로 인상했으며 2015년에는 최소 450만달러가 있어야 올해 공급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한국학교의 경우 교과서 수요량을 100% 공급하고 있지만 교과서 가격이 폭등하면서 한글학교와 미등록 재외교육단체 등에는 예산부족으로 수요량 전체를 보급하지 못하고 있다”며 “교과서 가격 급등으로 재외국민 교육에 필요한 교과서 공급사업이 차질을 빚을까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뉴욕 한국교육원 박희동 원장은 “가격 자율화 정책이 도입돼 교과서 가격이 인상된 것은 사실이지만 미주지역내 한글학교에 보급되는 교과서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하고 “관할지역 한글학교들이 수요 예측을 제대로 못해 부족하게 공급받는 경우를 대비해 뉴욕한국교육원측에서도 일정량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함지하 기자> 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