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사설/ 한국의 대학교수가 본 재외공관 문제

2009-09-22 (화)
크게 작게
최근 한국의 한 대학교수가 재외공관에 대한 비판적인 글을 내놓아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상대 지리교육과 이 전 교수는 평화문제연구소가 발간하는 월간지 ‘통일한국’ 9월호에 게재한 글에서 재외공관의 민원업무 운영 및 재미한인사회에 대한 기능과 역할, 그리고 지원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했다. 한국의 대학교수가 재외공관에 대해 이와 같이 쓴 소리를 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어서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이 교수는 재외공관의 문제는 우선 민원접수 창구가 여전히 구시대적이고 행정서비스도 권위주의 시대의 행태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재미한인 입장에서 보면 지극히 공감이 가는 내용이다. 지금은 좀 나아졌다지만 재외공관은 여전히 권위주의적이고 불친절하다는 게 총영사관 등 재외공관을 이용한 현지 한인들이 느끼고 있는 공통적인 생각이다.

과거 권위주의정부 시대에는 재외공관들의 한인사회 감시 및 통제 등으로 그 지역의 재외공관과 한인회가 갈등관계에 놓이기도 하였다며 이 또한 완전히 청산되어야 할 구시대의 잔재라는 것이 이교수의 주장이다.한국정부가 재미한인들을 위해서는 새로운 정책입안 보다 미주 각 지역에 상주하고 있는 총영사관 등 재외공관의 업무를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는 바, 대 한인사회 지원부터 우선시하는 게 더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여지가 없다. 미국에 주재하고 있는 문화원은 물론, 관광공사, 농수산물 유통공사 등과 같은 관공서 및 정부 출자기관 외에 한국에서 파견, 운영되는 은행 및 대기업 등 지상사들도 예외라고 볼 수 없다. 재미한인을 대하는 시각도 마치 자신들이 재미한인들 위에 있다는 착각으로 군림하려는 듯한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한인사회와 상호신뢰 및 협조관계를 갖고자 하는 자세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200만 재미한인들의 보이지 않는 수고와 땀, 그리고 희생이 오늘날 한국이 세계 경제강국의 반열에 들어설 수 있었던 버팀목 역할이 되었다는 사실을 정확히 인식한다면 그와 같은 처사는 없을 것이다. 이교수의 쓴 소리에 귀를 기울여 환골탈퇴, 재미한인사회와 더불어 존재하는 것이 재외공관 본연의 자세이며 확실한 시대적 사명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