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에너지는 공동부담?”…데이터센터 밀집 州 전기요금 15%↑

2025-11-16 (일) 12:01:53
크게 작게

▶ 일부 지역 빅테크 반발 ‘테크래시’ 확산…텍사스·캘리포니아는 영향 제한적

“에너지는 공동부담?”…데이터센터 밀집 州 전기요금 15%↑

버지니아주 애시번에 위치한 아마존웹서비스(AWS)의 데이터센터. [로이터]

인공지능(AI) 관련 수요 확대로 우후죽순처럼 생긴 데이터센터 때문에 일부 주에서 전기요금이 최대 15%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666곳을 유치해 미국에서 가장 많은 데이터센터를 보유한 버지니아주는 올해 8월 기준 전기요금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데이터센터 244곳이 밀집된 일리노이주는 전기요금이 15.8% 올랐고, 데이터센터 193곳이 자리 잡고 있는 오하이오주도 12%의 인상률을 보였다.


이는 미국 전체 연간 전기요금 인상률인 5.1%의 2∼3배에 해당하는 수치다.

취임 첫해에 전기 요금을 절반으로 낮추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과 정반대되는 결과다.

이들 지역에서는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이 현재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다.

여기에 메타는 오하이오주에 1GW(기가와트)급 데이터센터 '프로메테우스'를 건설할 계획이고, 오픈AI는 오라클·소프트뱅크와 함께 오하이오주에 '스타게이트' 계획의 일환으로 데이터센터를 추가 건설할 예정이다.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클로드도 이들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증설하겠다고 밝혔다.

매개변수의 수가 수백억 개 이상에 달하는 AI 모델을 훈련하거나 구동하려면 대량의 행렬 연산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필요한 전력량도 클 수밖에 없다.

최근 일부 대규모 데이터센터는 GW급으로 발표되는데, 1GW는 원전 1기의 발전량이자 약 100만 가구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이다.


결국 데이터센터가 늘어날수록 에너지 수요가 폭증하고, 이에 따라 전기 요금도 오르게 되는 구조다.

11·4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애비게일 스팬버거 버지니아 주지사 당선인은 최근의 전기 요금 인상이 데이터 센터 때문이라고 비판하면서 "대형 기술기업들이 그들의 몫을 지불하게 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버니 샌더스(무소속·버몬트주) 상원의원과 리처드 블루먼솔(코네티컷주)을 비롯한 민주당 상원의원들은 지난 10일 백악관에 서한을 발송해 데이터센터가 전기요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질의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전기요금 인상 때문에 '테크래시'라고 부르는 거대 기술기업에 대한 반발 심리가 퍼지고 있다는 진단도 나오고 있다.

에이브러햄 실버먼 존스홉킨스대 연구원은 "데이터센터가 밀집된 지역을 중심으로 더는 데이터센터를 원하지 않는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며 "테크래시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데이터센터 규모가 늘어나는데도 전기요금은 상대적으로 오르지 않은 주들도 있었다.

텍사스주는 데이터센터 409곳을 보유하고 있는데도 연간 전기요금 인상률은 3.8%에 불과했고, 캘리포니아주도 데이터센터 수가 321곳이나 되는데도 전기요금은 1.2%만 올랐다.

텍사스주는 새로운 전력 공급원을 전력망에 연결하는 데 걸리는 기간이 3년으로 비교적 짧아 공급이 원활하다는 점이, 캘리포니아주는 그간 전기 요금과 함께 부과했던 산불 예방 비용을 일반 재원에서 분담하기로 방침을 바꾼 점이 인상 폭을 안정화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