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자지구 내 국제안정화군 배치하고 과도 통치기구 설치 골자
▶ 러, 별개 안보리 결의안 추진 변수…美 “불화 조장하려는 시도” 반발
미국이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합의에 대한 후속 조치와 가자지구 내 다국적군 주둔 계획을 담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를 추진하는 가운데 주요 무슬림 국가들이 14일 미국 주도의 이 같은 결의안에 지지를 표했다.
유엔 주재 미국 대표부는 이날 8개 무슬림 국가와 공동 선언문을 내고 "미국이 초안을 제출한 가자지구 안보리 결의안에 찬성한다"라며 결의안의 신속한 채택을 촉구했다.
공동 선언문에는 미국 외에 카타르,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요르단, 튀르키예가 참여했다.
이들 국가는 "우리는 이것이 진지한 노력임을 강조하며, 이 계획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뿐만 아니라 지역 전체의 평화와 안정을 향한 실행 가능한 길을 제공한다"라고 강조했다.
앞서 미국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이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뒷받침할 내용을 담은 안보리 결의안 초안을 지난주 안보리 회원국에게 공유하고 합의 도출 협상을 벌여왔다.
AFP 통신이 보도한 결의안 초안은 미국과 참여국들이 2027년 말까지 가자지구 관리 및 안보 제공과 관련한 광범위한 권한을 갖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초안에 따르면 가자지구 휴전 유지 임무를 수행할 다국적 국제안정화군(ISF)이 이스라엘, 이집트, 새로 훈련받은 팔레스타인 경찰과 협력해 가자지구 접경 및 지역 내 안보를 지키고, 가자지구 내 비무장화를 지원하는 임무를 맡는다.
초안은 과도 통치기구인 평화위원회에 행정관리 권한을 부여하고, 가자지구 재건을 추진하는 역할을 맡기는 내용도 담았다.
평화위는 트럼프 평화구상에서 제시된 가자지구 과도 통치기구로, 과거 2차 세계대전 후 한국을 포함한 식민지배 국가들을 상대로 이뤄진 유엔의 신탁통치 기구와 유사하다. 평화위 수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맡는다는 게 미국의 구상이다.
안보리 결의는 국제법상 구속력이 있다는 점에서 결의안이 통과하면 각국의 ISF 파병과 평화위의 가자지구 활동 등에 관한 법적 근거로 기능하게 된다.
이사국 간 협의 과정에서 초안 내용이 수정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수정안은 미래의 '팔레스타인 국가' 가능성을 언급했다고 AFP는 소개했다.
다만, 안보리에서 거부권을 보유한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별도의 가자지구 결의안을 추진하고 있어 미국 주도 결의안 통과의 변수로 떠오른 상태다.
AFP에 따르면 러시아안은 평화위 구성과 즉각적인 ISF 배치 근거를 마련한 미국안과 달리 유엔 사무총장에게 평화 계획 조항의 이행을 위한 선택지를 파악하고 국제안정화군 배치 관련 보고서의 신속한 제출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았다.
주유엔 미국 대표부는 전날 성명에서 러시아의 별도 결의안 추진과 관련해 "(미국 제출) 결의안에 대한 협상이 활발히 진행 중인 가운데 불화를 조장하려는 시도는 가자지구 내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심각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