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정부의 업무정지(셧다운) 사태가 해결을 앞두고 있지만, 여파는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비농업 고용보고서가 영원히 공개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미 노동통계국(BLS)이 매달 발표하는 CPI와 비농업 고용보고서는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결정의 판단 근거로 사용된다.
CPI는 물가의 동향을 보여주고, 고용보고서는 실물경기 동향을 신속하게 나타내기 때문에 월가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경제지표다.
그러나 지난달 1일부터 시작된 셧다운 탓에 연방공무원이 무급 휴직 상태에 들어가면서 BLS도 정상적인 업무 수행이 불가능했다.
BLS는 기존에 산출한 소비자물가 추이를 바탕으로 9월 CPI는 발표했지만, 고용 동향 보고서는 공개하지 못했다.
또한 10월 CPI와 비농업 고용보고서도 발표하지 못했다.
문제는 이날 하원에서 임시예산안이 가결돼 셧다운이 종료되더라도 10월의 경제 데이터를 수집해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
BLS는 조사원을 미국의 각종 소매점에 보내 상품의 현재 가격을 수집한 뒤 변동의 추이를 분석하기 때문에 이미 지난 시점의 자료는 수집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에리카 맥엔타퍼 전 BLS국장은 "현장 조사원들이 11월 중순에 코스트코에 가서 10월의 가격을 조사할 수는 없다"며 "10월 CPI 발표는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레빗 대변인은 CPI와 비농업 고용보고서가 공개되더라도 손상된 통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 달 전의 경제 상황을 뒤늦게 조사해 자료를 수집한다면 정확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레빗 대변인은 "민주당의 셧다운은 경제학자와 투자자들, 연준의 정책 결정자들이 중요한 정부 데이터를 받는 것을 극도로 어렵게 만들었다"며 "민주당이 연방 통계 시스템을 영구적으로 훼손했을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10월 CPI와 비농업 고용보고서가 발표되면 다음 달 연준이 정책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