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연방 물가통계 품질하락 논란’

2025-07-09 (수) 12:00:00
크게 작게

▶ 통계부서 감축 등 영향

▶ 노동부, 조사대상 축소

물가 통계를 관장하는 연방정부 부서가 인력 부족으로 데이터 수집 범위를 축소해 전문가들로부터 통계의 품질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고 월스트릿저널(WSJ)이 보도했다.

연방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BLS)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정부 인력 채용동결 조치 여파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보고서부터 가격조사 대상 사업체 수를 축소했다.

노동통계국은 매달 수백 명의 조사원을 동원해 미국 전역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소비자물가 지표를 산출한다. 조사원들은 대부분 오프라인 매장을 직접 방문해 조사대상 품목의 가격표를 살펴보거나 특정 서비스에 대한 견적 가격을 확인한다.


조사원이 조사대상 품목의 가격을 추적할 수 없는 경우 유사한 대체재를 토대로 가격을 추정하는데, 4월 지표부터 이같이 추정 자료에 의존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UBS의 앨런 데트마이스터 이코노미스트는 4월 소비자물가 지표 자료에서 가격 추정의 약 29%가 이 같은 방식으로 채워졌다고 지적했다.

노동통계국은 일부 경제 전문가들이 4월 소비자물가 지표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하자 “특정 도시들의 인력 부족을 고려해 자료 수집 대상 판매점과 가격 견적 자료 수를 임시적으로 축소했다”며 “이는 채용 동결이 해제되고 추가 직원을 고용해 훈련할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고 답신했다고 WSJ은 전했다.

데트마이스터 이코노미스트는 “표본 수를 줄이면 표본 오차는 증가한다”며 “이것이 큰 문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상황을 나쁜 방향으로 만든다는 것은 분명하다”라고 비판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