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펜(William Penn)은 1681년 영국왕 찰스 2세의 특허를 받아 북미주에 상륙해 펜실베니아를 개척하면서 많은 고생을 겪게 되었다. 그래서 동료들에게 늘 이런 금언을 한 바 있다.
“고통을 겪지 않는 승리는 없다. 흑암을 통과하지 않고 광명에 이를 수는 없다. 희생을 치르지 않고 영광에 이를 수는 없다. 친구들아 고생을 기뻐하라!”
1990년 제72대 영국 총리로 뽑힌 존 메이저( John Major) 는 서민층에 희망을 던지는 활력소가 되었다.
노동자 출신으로 대학도 나오지 않은 사람이 40대에 대 영국의 수상이 되었다면 뜻있는 청년들의 거울이 될 만하다.
가난한 집에서 태어난 메이저는 16세 때 학교를 중퇴하고 가족 부양을 위하여 공사장에서 일했다. 그는 신문사와의 인터뷰에서 노동하던 시절을 이렇게 회고했다. 아침 7시에 토스트로 식사를 때우는데 이 시간은 이미 아침 노동을 두 시간 한 뒤였다.
그는 경제통 수상이지만 대부분 부유층이었던 수상들이나 미국의 대통령들과 달리 가난한 사람들의 살림을 몸으로 체험한 수상이다. 은행가로, 정치가로 상당한 높은 지위에 있을 때 그는 계속해서 노동자들이 드나드는 싸구려 식당에 출입했고, 흑인 등 여러 인종이 섞여 사는 서민층 동네에 살았으며 자신의 두 아이도 공립학교에 보냈다.
그는 국회위원 당시부터 인종간의 평화, 노동복지, 서민아파트 건설 등 희망의 표본이다.
그는 한번도 비판적이거나 염세적인 생각을 해본 일이 없다 한다. 그는 고생을 기뻐한 사람이었고 어떠한 역경도 피하지 않고 희망을 가진 사람이었으며 흑암을 뚫고 빛을 바라봤던 사람이다.
이런 사람이 이 대영제국의 총리가 되었으니 참으로 세상에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었다.
<
임형빈/한미충효회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