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국민의힘 경선 초반 洪·金·韓 ‘3강’…安·羅 ‘2중’ 구도

2025-04-17 (목) 09:58:22
크게 작게

▶ 홍준표·김문수·한동훈 ‘본선 대비’…안철수·나경원 ‘4강 안착’ 목표

▶ ‘이재명 때리기’엔 후보들 한목소리…차별성으로 ‘청렴’, ‘경력’ 등 부각

국민의힘 경선 초반 洪·金·韓 ‘3강’…安·羅 ‘2중’ 구도

(서울=연합뉴스) 17일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1차 경선 토론회 미디어데이’에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8명이 참석해 있다. 첫줄 왼쪽부터 이철우 경북지사, 유정복 인천시장,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안철수 의원. 뒷줄 왼쪽부터 홍준표 전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양향자 전 의원, 나경원 의원. 2025.4.17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대선 경선 초반 레이스가 17일(이하 한국시간) '3강(强) 2중(中)' 구도로 형성된 모습이다.

1차 경선에서는 김문수·나경원·안철수·양향자·유정복·이철우·한동훈·홍준표 등 8명(가나다순)의 후보가 네 자리를 놓고 경쟁한다.

이중 홍준표·김문수·한동훈 후보가 3강, 안철수·나경원 후보가 2중이라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4일부터 전날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천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리포트'에 따르면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홍 후보와 김 후보는 각각 8%, 한 후보는 6%, 안 후보는 3%, 나 후보는 2%를 기록했다.

국민의힘 후보 적합도 조사에서는 홍 후보가 12%, 한 후보가 10%, 김 후보가 9%, 안 후보가 8%, 나 후보가 3%였다.

보수층으로 한정하면 홍 후보가 21%, 김 후보가 20%, 한 후보가 12%, 나 후보가 6%, 안 후보가 5%를 기록했다. 중도층에서는 한 후보가 12%, 안 후보가 10%, 홍 후보가 8%, 김 후보가 5%, 나 후보가 2%였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소추에 반대했던 홍 후보와 김 후보가 보수층에서 지지율이 높았고, 탄핵에 찬성했던 한 후보와 안 후보는 중도층에서 소구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홍 후보, 김 후보, 한 후보는 이러한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4강 진입을 자신하면서 최종 경선을 넘어 본선까지 대비하는 모습이다.

홍 후보는 제7공화국 개헌, 초격차성장 50조원 투자 등 구체적인 공약을 제시하며 '준비된 대통령' 이미지를 부각하고 있다.

정책으로 민심을 잡는 동시에 물밑에서는 의원·원외 당협위원장 등과 접촉면을 늘리며 당심도 공략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후보는 경선에서 다른 후보들의 공격이 집중될 것으로 예상하고 '김구 선생 국적' 등 자신의 과거 발언과 행보 등에 대한 방어선을 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아울러 당내 일각에서 제기되는 '경선 이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의 단일화론'을 두고 다른 후보들과 달리 열린 태도를 유지하며 한 대행 지지층까지 흡수하겠다는 구상이다.

한 후보는 탄핵을 반대했던 다른 주요 후보들과의 차별성을 부각하며 본선에서의 중도 확장성을 내세우고 있다.

윤 전 대통령과 관계를 두고도 '윤심(尹心)보다 민심'이라며 탄핵에 찬성했던 민심을 더욱 끌어모으고 있다.

안 후보와 나 후보는 우선 4강에 안착한 뒤 지지세를 키워 양자 대결에 진출하겠다는 전략이다. 안 후보는 중도층을, 나 후보는 보수층을 주요 타깃으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는 정권 유지 여론보다 정권 교체 여론이 크고, 중도층에서도 탄핵 찬성 여론이 우세한 만큼 중도·보수층 표심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나 후보는 보수의 정통성을 앞세워 한 후보를 향한 공세에 주력하고 있다. 수도권 현역 의원인 점을 강조하며 중도 외연 확장도 시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후보들이 각양각색의 전략으로 경선에 임하는 와중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경선 후보 공격에는 모든 후보가 동참하고 있다.

이재명 후보와 대비되는 점으로 홍 후보는 "'양아치'를 거칠게 잡을 사람", 김 후보는 자신이 "가진 것 없는 깨끗한 손"이라고, 한 후보는 "계엄 때 겁이 나 숨은 사람과 맞설 후보"라고 각각 강조했다.

안 후보는 변호사 출신인 이 후보와 달리 자신은 의사, 과학자, 창업자, 교수 등 경력을 갖췄다는 점을, 지난 총선 서울 동작을에서 당선된 나 후보는 '이재명의 민주당'을 이긴 후보라는 점을 부각했다.

유정복 후보는 윤 전 대통령과 '거리두기', 이철우 후보는 지방 분권, 양향자 후보는 첨단산업 육성 등을 내세우며 인지도 높이기에 주력하고 있다.

기사에 인용된 NBS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이뤄졌고,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다. 응답률은 23.2%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