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 권리당원들 국회서 “경선 흥행 위해 연기하자” 촉구

(왼쪽부터) 이재명 - 이낙연 - 정세균 [연합뉴스 자료사진]
더불어민주당에서 대선후보 경선연기론의 불씨가 더 커지는 모양새다.
충분한 공감대 없이는 '원칙대로 간다'는 게 지도부의 입장이지만, 국민의힘 당대표 경선을 강타한 '이준석 돌풍'이란 외생 변수와 맞물리면서 힘을 받는 모양새다.
국민의 관심이 길게는 내년 초까지 야권 내 세대교체와 후보 단일화에 모아질 게 불보듯 뻔한 상황에서 서둘러 올여름에 대선후보를 내세워봤자 아무런 실익이 없다는 판단이 담겨있다.
일부 권리당원들은 4일(이하 한국시간 기준)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경선 흥행은 대선 승리의 열쇠"라며 경선 연기를 요구했다.
이들은 "9월로 예정된 경선 일정을 이대로 강행한다면 지난 언택트 전당대회와 같이 우리만의 잔치로 끝날 수 있다"며 "국민의힘보다 늦게 하진 못해도 최소한 빨리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당내에서도 일부 초선의원들을 중심으로 경선 연기 논의 공식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초선의원 모임 '더민초' 운영위원장인 고영인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해 초선 4∼5명으로부터 내주 회의에서 경선 연기 문제를 의논하자는 제안을 받았다고 전했다.
고 의원은 "이것을 공식적으로 논의하느냐 마느냐는 굉장히 정치적인 문제"라며 "굉장히 민감하고, 후보들에게 미치는 영향도 있어 논의할 건지를 논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대권주자 중에서는 이광재 김두관 박용진 의원, 최문순 강원지사가 경선 연기에 찬성하고 있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이인영 통일장관 등 86그룹 주자들도 경선이 연기된다면 출마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낙연 전 대표나 정세균 전 총리는 '원칙'을 강조하는 원론적 입장만 밝힌 상태다.
경선 연기 필요성에 내심 동조하면서도 패배주의적 처신으로 비칠까 우려해 입장 표명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현재 지지율 선두 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는 경선 연기론에 대해 "원칙대로 해야 한다"며 반대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