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첨단산업·중-농산물 상대의 아킬레스건 공격
▶ 세계 증시 폭락사태 등 ‘파국 도미노’ 우려 커
한인경제도 타격 불가피
미국이 예고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대규모 고율 관세 발효가 6일 시행되면서 중국이 보복 관세를 천명하는 등 세계 1,2위 경제대국인 미국과 중국이 무역전쟁의 방아쇠가 당겨졌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총 500억달러에 달하는 중국 상품에 대한 관세를 천명한 가운데 6일부터 1차적으로 34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818개 품목에 25% 관세를 물리고 추후 160억달러의 284개 품목에 대해서도 관세 부과를 검토한다. 중국 역시 미국과 동시에 같은 규모, 같은 수준의 보복 관세를 물리겠다고 맞불을 예고했다.
■ 서로 아킬레스건에 ‘집중 폭탄’
트럼프 행정부가 25%의 고율관세를 부과하려는 500억달러에 달하는 품목 대부분은 중국이 육성중인 첨단산업 분야에 집중돼 있다. 반면 수세적 입장인 중국은 대두, 쇠고기 등 트럼프 대통령의 표밭인 ‘팜벨트’(농장지대)에서 생산되는 농산품에 고율관세를 부과한다는 계획이다. 서로의 취약한 아킬레스건을 노리는 형국이다.
지난 5월 트럼프 행정부가 연방정부 관보를 통해 발표한, 25% 관세 부과 품목 818개에는 중국의 10대 첨단산업 육성 프로젝트인 ‘중국제조 2025’와 관련된 제품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 고성능 의료장비, 바이오 신약, 산업용 로봇, 통신장비, 첨단 화학제품, 항공우주 해양 엔지니어링, 전기차, 반도체 등 하이테크 제품들이 다수다.
반면 중국의 관세대상 품목은 11월 중간선거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을 겨냥하고 있다. 지난 4월 중국 국무원이 발표한 25% 관세대상은 14개 분야 106품목으로 대두와 옥수수, 미가공 면화, 신선•냉동 쇠고기, 담배 등 대부분 농산품이다. 자동차와 항공기 등 제조업도 타깃이다. 중국은 외국산 자동차에 대해 기존에 부과하던 관세 25%를 15%로 내리겠다고 발표했는데 결과적으로 추가 관세를 포함해 40% 관세를 부과 받는 미국산 자동차는 15% 관세만 매겨지는 외국산 자동차와 경쟁이 불가능해지는 처지다.
■미주 한인사회 타격 불가피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본격화하면 뉴욕 등 미주 한인사회도 타격을 받게 된다.
한인 물류업계는 보복무역 관세에 따른 수출 물동량 감소로 인한 매출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한인 물류업계 관계자들은 미중 무역전쟁의 도미노로 인해 한국까지 피해를 당하게 되면서 미국, 중국, 한국을 잇는 3개국 물동량 감소를 우려했다.
특히 중국에서 제조업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한인을 비롯, 일부 미 제조업체들은 미국의 보복관세로 인해 미국 시장 수출 시 가격 경쟁력을 잃게 될 것을 우려하며 초비상 상태다. 미국 기업이면서도 미국 정부가 부과하는 관세로 인한 피해를 보게 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되고 있는 것.
일반 소비자들은 중국에서 수입되는 상품들의 가격이 높아지게 돼 지출 부담이 늘게 된다.
■미 소매업계도 직격탄
중국산 제품에 부과한 고율 관세가 결국 미 소매업계에 타격을 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현재 유보중인 2,000억∼3,000억 달러 규모 제품에 대한 관세가 더 매겨질 경우, 의류와 신발, 잡화, 완구류 등 소비재에도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 소매업연맹의 데이비드 프렌치 선임부회장은 "높아진 공산품 가격이 결국 소비자들의 지갑을 닫게 할 것"이라며 "소매업자들은 올 연말 크리스마스 연휴 시즌에 맞춰 지금쯤 주문을 내야 하는데, 섣불리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형마트나 의류, 잡화, 완구류 유통점의 선반을 차지하는 대다수 상품에 '메이드 인 차이나'가 찍혀 있는데 20% 넘는 관세가 붙어 가격이 그만큼 올라가면 유통업자들이 중국산 제품 구매를 꺼리게 되고 미국 내 소매 유통 매장의 선반은 텅텅 비는 사태가 올 것이라는 진단이다.
■무역량 급감•증시 폭락 등 ‘파국 도미노’ 우려
국제 금융시장도 타격을 피할 수 없게 됐다. 글로벌 경제의 중추인 미중의 갈등으로 교역량이 급감하고 투자 자금이 안전자산으로 급격히 쏠릴 경우 세계 증시 폭락 등 파국적 사태를 부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
이진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