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미, 청문회 하루앞두고 ‘폭탄 증언’
▶ 8일 세계의 눈 워싱턴에 몰린다

코미 전 FBI 국장이 트럼프 대통령이 수사중단을 요구했다고 7일 폭로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신시내티에서 연설을 한 후 백악관으로 돌아가기 위해 비행기에 오르며 심각한 표정을 짓고 있다.[AP]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5개월 만에 최대위기에 봉착했다.
트럼프 대통령 측근들이 대거 연루된 '러시아 스캔들'을 수사하다가 해임된 제임스 코미 전 연방수사국(FBI) 국장이 상원 정보위 청문회를 하루 앞둔 7일 트럼프 대통령의 수사중단 압력을 공식으로 폭로하고 나선 데 따른 것이다.
코미 전 국장은 이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 스캔들 수사 중단 압력과 충성 맹세 요구 등 시중에 돌던 의혹 모두를 사실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이 같은 의혹을 모두 '마녀 사냥(witch hunt), '가짜 뉴스(fake news)'라고 부인해온 트럼프 대통령과 명운을 건 정면충돌이 불가피하게 됐다.
양측 모두 자신의 주장이 거짓임이 드러나면 회복이 불가능한 치명상을 입게 되는 '외나무 다리 결투'이다.
코미 전 국장은 이날 미리 공개한 청문회 모두발언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을 따로 만난 자리에서 러시아 스캔들의 '몸통'인 마이클 플린 전 국가안보보좌관에 대한 수사에서 '손을 떼달라'(let go)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러시아 수사의 구름을 걷어내려면 뭘 할 수 있느냐'는 물음도 했다고 전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에게 '나는 충성심이 필요하다. 충성심을 기대한다'는 는 말도 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언론 보도를 통해 제기된 '코미 메모'의 핵심 의혹들이 코미 전 국장 본인의 육성으로 직접 확인된 셈이다.
코미 전 국장의 발언이 액면 그대로 전부 사실이라면 이는 대통령 탄핵 사유인 '사법 방해'에 해당한다는 게 대부분 헌법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사법 방해는 그동안 미국 대통령들이 직면했던 중대 범죄로, 워터게이트 스캔들로 결국 사임한 리처드 닉슨 및 르윈스키 성추문 스캔들에 휘말렸던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여기에 해당한다.
여론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불리한 편이라는 게 중론이다.
실제 ABC방송과 워싱턴포스트(WP)가 지난 2∼4일 성인 527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1%가 트럼프 대통령이 '자기보호를 위해' 러시아 스캔들 수사를 지휘하던 코미 전 국장을 전격으로 해임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또 정치권에선 야당인 민주당 일각에서 이미 트럼프 탄핵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집권 여당인 공화당 내부에서도 탄핵론에 공감하는 의원들이 있는 상황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