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분 교육구 이번 주말부터 시작... 자녀들만 두자니 게임중독 걱정
▶ 학원·서머캠프 비용 부담 만만찮아
지난주부터 다음주에 걸쳐 북가주 지역 대부분의 교육구들이 학기를 마무리하고 일제히 2개월이 넘는 여름방학에 돌입하는 가운데, 학생들에게는 행복한 기간이지만 여름방학은 맞벌이 한인 학부모들에게는 또 하나의 스트레스가 되고 있다.
특히 자녀들이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게임중독에 빠질 것을 우려하는 것은 물론, 맞벌이 부부의 경우 방학기간 데이케어 등 아이들을 맡길 곳을 찾야갸 하거나 비싼 사교육비 부담이 늘기 때문에 방학이 마냥 반갑지만은 않은 것이다.
7학년과 8학년 자녀 둘을 둔 한인 학부모 김모씨는 “여름방학동안 아이들이 다른 아이들보다 뒤쳐지지 않게 특강을 보내려고 하는데 비용이 여간 부담이 아닐수 없다”며 “특히 아이들이 원하지 않는다면 무리해서 보내고 싶지 않은 마음이지만 큰 애의 경우 주위 친구들처럼 방학특강을 원하고 있다”며 여름방학만 되면 자녀 교육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소연했다
이처럼 여름방학 시즌이 되면서 초,중,고교 자녀들 둔 한인 학부모들이 ‘방학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있다. 아이들만 집에 놓아둘 수도 없고 공부와 특별활동을 시키며 시간 맞춰 픽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 찾기가 이만저만 골치가 아픈 게 아니다. 그렇다고 하루 종일 데이케어나 학원에 의존하자니 비용이 만만치 않다.
경제사정이 여의치 않은 학부모들에게는 자녀를 교육구가 제공하는 서머스쿨에 보내는 게 가장 좋지만 이것도 미리미리 신청하지 않을 경우 등록이 쉽지 않다.
더구나 각 시정부나 교육구들이 재정난을 이유로 여름학기 수업과 프로그램을 축소하면서 금전적 부담도 더욱 커진 상태다.
교육 전문가들은 많은 한인 학부모들이 긴 여름방학을 허송세월할 경우 큰 손해를 본다고 판단, 무리를 해서라도 자녀를 사설학원 또는 캠프에 보내고 있다며 꼭 돈을 많이 들여야만 큰 효과를 보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교육 전문가들은 “방학은 학원을 가는 자녀나 학원을 보내는 부모 모두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생활을 학원 등으로 묶어 둔다면 효과적인 교육방법이 되지 못할 것이다”며 “아이들을 학원에만 보내기보다는 사회봉사나 공공기관이 주최하는 캠프, 단기선교 등에 참여토록 하면 인성교육과 사회 경험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
박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