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주 퍼크 규제, 한인 세탁업계 공동대응 나선다
2016-07-22 (금) 09:21:56
최희은 기자
▶ 한인드라이클리너스협, 대책마련 추진
▶ 기계 공동구입. 뉴욕주에 지원금 요청 계획
뉴욕주가 세탁업소들의 퍼크 사용 규제를 위한 대대적인 단속을 예고하면서<본보 7월21일자 A1면> 초비상에 걸린 한인 세탁업계가 이번 단속에 대비한 대책 마련에 발 벗고 나섰다.
뉴욕한인드라이클리너스협회(회장 박상석)는 무엇보다 전체 한인세탁업소 기계의 절반 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퍼크기계 교체에 집중하기로 하고 공동구매 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협회는 현재 퍼크기계 사용 중인 한인업소들의 대체 솔벤트 기계로의 교체 부담을 덜기 위해 내년 4월부터 공동구매를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공동구매 참여 희망업주들의 사전 접수를 받기 시작했다. 박상석 회장은 “현재 희망자를 모집 중으로 조만간 각자가 원하는 기종과 용량 등을 기입, 공동구매 참여를 확인하는 구입 희망서를 회원들에게 배포할 것”이라며 “기계 비용이 약 7만 5000달러에 달하기 때문에 공동구매를 통해 10%내외의 할인을 적용 받아도 상당부분 부담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기계 공동 구매와 함께 뉴욕주 정부로부터의 대체 솔벤트 기계 구입 지원금 마련에도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5월 협회 관계자들은 론 김 뉴욕주하원의원과 만나 기계 교체를 위한 뉴욕주의 지원을 요청한 바 있다.
뉴욕주환경국은 지난 2004년 기계 교체 및 리스 보조금으로 업소당 최대 5500달러를 지원했었다. 협회는 해당 법안이 여전히 유효하지만 보조금이 모두 고갈된 상태로, 뉴욕주가 보조금을 충당·지원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협회에 따르면 뉴욕주에서 운영 중인 한인 업소는 약 2000곳, 이중 약 1300개가 뉴욕시 5개 보로에 집중돼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중 퍼크를 사용하는 업소의 수는 약 900곳이지만 2020년까지 퍼크기계를 대체 솔벤트로 교체해야 하는 주상복합 건물에 위치한 업소의 수는 약 600개다. 전체 한인세탁 업소 중 약 30%가 해당되는 셈이다.
협회의 퍼크 기계 교체를 위한 이 같은 방침 마련은 앤드류 쿠오모 주지사가 사실상 세탁소의 퍼크 사용 규제 방침을 발표한 직후 급진전됐다. 쿠오모 주지사는 지난 20일 세탁, 식당, 네일 등 15개 분야의 근무 환경 개선을 위한 실태 개선 방안 및 노동착취 단속 시행령을 담은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태스크포스를 가동, 실태 조사 및 단속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박상석 회장은 “종업원 임금과 환경 관련 기본 법규를 이전처럼 잘 지킨다면 큰 문제는 되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기계 사용시 밀실 문을 잘 닫아놓고 매일 기기를 점검, 기록해놓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업주들이 ▶라이트 투 노우(Right to Know), 종업원 상해 보험, 최저 임금 관련 뉴욕주 포스터를 제대로 붙여 놓고 ▶화학 제품 목록과 사용, 폐기 날짜를 기록하고 ▶화학 제품 사용시 뚜껑을 잘 닫아 놓을 것 ▶ 종업원의 임금 지급 기록을 꼭 보관해둘 것 등을 협회는 당부했다.
퍼크 기계 공동구입 문의:631-796-6153
<
최희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