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무등록 사태 속출하는 직능단체장 선거

2015-10-23 (금)
크게 작게
최희은(경제팀 차장)

뉴욕한인건설협회는 이달 초 제16대 회장 선거관리위원회를 구성하고 차기 회장선출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했지만 후보등록을 마감한 결과 단 한명도 등록하지 않았다. 협회는 결국 오는 23일 임시 이사회를 열고 대책 마련에 들어간다.

재미부동산협회도 최근 신임회장 선출을 위한 선관위를 구성하고 후보 등록을 받고 있다. 그런데 올해부터 후보자격 요건이 달라졌다.


종전 후보자격 기준은 뉴욕주 부동산브로커 자격증 소지자로 3년 이상의 브로커 경력과 협회 임원으로서 2년 이상 경력을 충족해야 했다. 그러나 올해 후보자격은 ‘협회 정관과 회칙을 준수하고 협회 발전에 이바지했으며 한인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덕망있는 자’라는 조건이 다다. 이유는 간단하다. 후보 무등록 사태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다.

불경기가 시작된후 한인 직능단체들이 회장 선출에 난항을 겪어왔지만 최근 들어 상황이 더욱 나빠지고 있다. 지난해 뉴욕한인식품협회 경우 회장선출 과정에서 부득이하게 정관을 개정해야 했다. 신임회장에 나설 사람은 없는 상황에서 이종식 회장이 연임을 하자니 기존 정관이 회장의 1회 연임까지 허용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결국 정관개정 후 이종식 회장이 세 번째 임기에 들어가게 됐다.

이처럼 직능단체마다 속출하고 있는 회장 선거 무등록 사태 현상은 갈수록 회장의 금전적 부담이 커진데다 당국의 각종 단속으로 협회의 어깨가 무거워졌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또한 회원들의 비협조적이고 무관심한 태도 역시 주요원인으로 꼽힌다. 단적인 예가 직능단체 마다 회비납부 현황을 밝히기 꺼리고 있는 점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단체장은 “임원을 제외하고는 회비를 납부하는 회원의 수가 20여명에 불과하다”며 “회원업소가 수백 개라도 몇십 달러에 불과한 회비를 내기를 꺼리니, 차마 몇 명인지 공개하기가 민망하다”고 전했다.

직능단체는 동종업종에 종사하는 소상인들이 주변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회원 한사람 한사람이 모여 스스로의 권익을 대변하기 위해 만들어진 조직체다. 다시 말해 소상인들이 주류사회에 의견이나 불만을 피력할 수 있는 것은 그나마 협회가 존재하기에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협회에 대해 보다 깊은 관심을 갖고 능동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이유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