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평통, 인선 공개 못하는 이유 있나

2015-06-30 (화)
크게 작게
17기 민주평통 자문위원들이 선정되었다. 평통위원은 한인사회에서 유일하게 한국정부 임명직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그런 조직의 인선이 마무리되었다면 어떤 인사들인지 관심도 갖고 축하도 하면 좋으련만 한인사회의 분위기는 전혀 그렇지가 않다. 대체로 무관심 일색인데 올해는 거기에 한국 평통사무처가 찬물까지 끼얹었다. 평통위원 명단을 비밀에 부치겠다는 방침이다. 무관심은 냉소로 바뀌었다.
평통은 올해로 창설 34주년을 맞았다.

뉴욕을 중심으로 본다면 지난 34년 평통의 역사는 순탄치 않았다. 인선 때마다 한국 정치권에 줄대기, 투서, 비방전 등 추태가 반복되어 왔다. 그런 요란스런 과정을 거쳐 막상 위원들을 선정하고 나면 임기 2년 동안 존재감이 거의 없는 것이 평통의 특징이기도 하다. 커뮤니티의 관심을 끌만한 활동이 별로 없다는 말이다. 평통 무용론이 수시로 제기되어온 배경이다.

평통사무처의 명단 비공개 방침은 평통의 현주소를 그대로 드러냈다는 점에서 씁쓸하다. 소수의 비밀요원을 뽑는 것도 아니고 뉴욕에서만 171명을 뽑는, 소위 헌법기관 구성원 명단을 비밀에 부친다는 것은 민주정부의 투명성 원칙에도 어긋나고 실효성도 없다. 인선에 대한 뒷말 차단 조치로 추측이 되는데, 비방이나 투서를 하려고 들면 명단 공개 안한다고 못할 일이 아니다.


사무처의 명단 비공개 방침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함량미달 인사들이 섞여있다는 반증이 될 수도 있다. 지난 34년 “저 사람이 평화통일과 무슨 상관이 있나?” 싶은 인사들, 도덕성에 의혹이 제기되는 인사들이 자주 섞여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평통이 제 역할을 하려면 개혁이 필요하다. 한인들 대다수는 무관심하고 ‘감투’ 삼아 욕심내는 그룹만 눈에 불을 켜는 평통이라면 존재해야 할 이유가 없다.

통일 자문기구가 아니라 친정부 세력 만들기라는 비아냥을 피하려면 자문위원 선정방식부터 바뀌어야 한다. 신청자들 중 뽑는 것이 아니라 한국정부가 전문가들을 정중하게 초빙하는 방식이 되어야 할 것이다. 6.25 전쟁 65주년, 이제는 통일의 염원을 이뤄야 하지 않겠는가. 전문가들로 탄탄한 조직을 만들어서 통일의 길을 진지하게 연구하고 자문하는 진짜 ‘평통’으로 거듭나기를 바란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