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해외동포 의견 경청해야

2014-10-07 (화)
크게 작게
정재현(목사 /칼럼니스트)

한인 해외동포들이 1,000만에 이르는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시대가 확장되고 있다. 88올림픽을 기점으로 해외여행이 개방되고 냉전이 종식되고 공산권의 담이 허물어지면서 한민족은 생활터전을 좁은 한반도에서 벗어나 전 세계로 확장시키기 시작했다.

본래 지금 현존하는 모든 종족들은 역사상 끊임없이 민족이동을 해왔다. 때로는 강한 민족에 쫓겨서 이주했고 때로 더 좋은 생활터전을 찾아서 스스로 이동하기도 했다. 아리안 족이나 켈트족, 훈족의 대이동으로 고대 국가가 명멸했다. 오늘날 미국이나 호주, 남미 국가들도 민족이동으로 생긴 나라들이다. 2,000년 전 한반도에 정착한 한민족도 본래 바이칼 호에서 시작해서 중앙아시아를 거쳐서 요동 벌과 한반도에 정착하게 됐다고 한다.


유대인의 이민역사는 2,500년, 중국은 200년, 일본은 100년으로 볼 때, 우리나라 이민역사는 한국전쟁이후로 잡아도 60년에 불과하다. 일본제국은 우리나라를 강점한 후 일부 유학생을 제외하고 한민족의 해외진출을 정책적으로 막았었다.

그것은 한민족의 자주자립을 막기 위한 봉쇄정책이었다, 그래서 당시 중국 등 국외로 나가는 사람은 대부분 여권도 비자도 없는 불법이주자였다. 그래도 악착같이 독립운동을 위해, 생존을 위해 악착 같이 해외로 진출했다. 이것이 오늘날 해외한인의 첫걸음이었고, 해방과 전쟁이후에는 유학과 국제결혼으로 해외에 진출했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해외 재산유출을 방지하는 이유로 해외진출과 여행마저 강력히 제한했는데 그것은 오히려 역기능을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찌감치 해외진출을 자유화했다면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은 더욱 빨라졌을 것으로 보는 시각이 옳다는 것을 오늘날의 현상이 증명한다. 90년대 민주화 이후 고도의 경제적 문화적 성장은 우수한 한민족의 해외진출 속도와 비례한다고 본다.

필자는 한국 국내 문제도 이제는 해외동포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고 지혜를 더해야 할 때라고 생각한다. 어떤 중대한 사안은 이해 당사자끼리는 대화가 안 되고 해결이 더 힘들어 질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주변의 중재안이 필요하다. 오히려 이해 당사자가 아닌 사람이 문제를 더 정확하게 보고 판단할 수도 있다.

근간에 일본군 위안부 사안과 동해바다를 일본해로 단독 표기하는 현안을 시정하자는 운동은 오히려 본국에서 시작한 것이 아니라 미주 한인들이 먼저 시작해서 세계적인 이슈로 이끌어낸 것이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