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휴전과 다가오는 통일

2014-07-23 (수)
크게 작게
여주영(주필)

얼마 전 한국에 남북한 통일을 가속화하기 위한 취지로 통일위원회가 조직됐다. 미주에서도 각 지역별로 통일위원들이 몇 명씩 선정됐다. 이들이 할 일은 무엇일까. 감투에만 안주하지 말고 통일을 위한 당국의 움직임에 어떠한 형태로든 일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근혜 대통령은 올 새해벽두 가진 기자회견에서 “남북통일이 실현된다면 대박”이라고 선언하면서 ‘통일 대박론’에 불을 지폈다. 그러나 현실은 차갑고 어둡기 짝이 없다. 한국인 스스로가 통일에 대한 열망이 식어 있고 국내외 한국인 모두가 매일 매일 먹고 살기도 바빠 보인다.


여러 북한 전문가들은 북한은 이미 중국의 지배력 하에 있으며, 나아가서는 ‘제2의 티베트’가 되어 중국의 속국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한다. 세계 2차 대전 당시 일본이 만주에 설립한 꼭두각시 나라인 만주국처럼, 북한은 결국 중국에 예속된 ‘제2의 만주국’의 운명을 맞을 것으로 본다는 것이다.

2012년 12월 말 발표된 미국 상원보고서는 북한 정권이 붕괴되는 시나리오에서 한국 주도의 독일식 흡수통일은 요원해 보인다는 주장을 내놓았다. 중국이 몇 년 전부터 흘려온 동북공정이 실제로 현실화 된다고 생각하면 아찔하다.
만약 우리 세대에 북한이 중국에 흡수된다면 휴전선은 영구적인 영토국경선으로 변하게 되고, 현재 추진 중인 DMZ평화공원은 영구분단의 상징물이 돼버리고 만다.
오는 27일은 한국전쟁 휴전 기념일이다. 1951년 7월 판문점에서 휴전 회담이 시작되고 정확히 2년 동안 한반도 안에서는 휴전협정이 공식 선언된 휴전 기념일까지 필사의 전투가 계속되었다. 그렇게 피비린내 나는 전쟁의 정전협정은 ‘425고지 전투’라는 장엄한 승리의 피날레로 체결되었다.

우리가 지금 누리는 자유를 지키기 위해 올 인(all in)한 이 비극적 전쟁을 영구 종식시켰다는 점에서 휴전 기념일을 기리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미국에서도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상·하원이 7월 27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했다. ‘한국전 참전용사를 기리는 법’이라는 취지로 ‘Korean War Veterans Recognition Act’를 통과시킴으로써 이날은 공식적으로 성조기를 조기 게양해 기념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한인사회에서도 한나 킴을 주축으로 한 한인 2세 모임 ‘리멤버 727(Remember727.org)’는 한국전쟁 휴전 기념일을 기리는 행사를 해마다 개최하고 있다 한다. 이들은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에서 사물놀이를 시작으로 미국인들이 익숙한 추모방식인 촛불의식을 통해 정전협정일을 기념하고 있다.

이날을 기해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할 것은 우리 개개인이 한국의 현실적인 평화통일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자문해 보는 일이다. 하나의 방법으로는 미국과 한국에 정착한 조선족 동포들과 보다 유기적인 관계를 조성해 나가는 것이다. 2009년 38만 명까지 이르렀던 한국 내 조선족 인구는 꾸준히 30만 명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뉴욕에도 조선족 출신 동포들이 적지 않다. 이들 상당수는 북한에 친척을 두고 있고 한국과 미국에서 번 돈을 착실히 송금하고 있다 한다.

이들 조선족이야말로 북한 동포들을 변화시킬 수 있는 매개가 충분히 될 수 있다. 북한 동포들은 이미 변화된 중국을 익히 알고 있는데다 조선족 친척들의 잘 사는 모습을 피부로 느끼다 보면, 베를린 장벽이 서독과 동독인들의 화학적인 변화로 무너졌던 것처럼 남북한 휴전선도 이들 동포들의 주도로 쉽게 열릴 수 있지 않을까.

북한의 독재도 종식시키고 억압받는 동포도 구하고 자유통일도 이루는 ‘윈 윈’의 지혜, 국내외 한국인 개개인이 모두가 하나 되면 가까운 시일 내에 분단의 벽을 무너트리고 남북한 7,000만이 하나 되는 통일을 이루지 못할 일도 없다. “눈앞에 현실을 똑바로 보면 해결책이 나온다”고 한 영국의 역사학자 니얼 퍼거슨의 말처럼 북한의 현실을 바로 보면 해결책이 분명 나올 것이다.
juyoung@koreatimes.com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