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한인 시민권자도 북 이산가족 상봉 실현되나

2014-03-11 (화)
크게 작게
미국시민권 소지 한국인과 북한 내 친지 상봉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최근 미 연방 하원에서 발의돼 미주지역거주 북한실향민에게 커다란 희망이 되고 있다. 이 결의안은 얼마 전 극적으로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이 실현된 가운데 추진되는 것이어서 실향민들의 가슴을 더욱 부풀게 만든다.

워싱턴DC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지난 7일 한국전쟁 참전용사 출신의 찰스 랭글(민주, 뉴욕), 존 코니어스(민주. 미시건), 샘 존슨(공화. 텍사스), 하원드 코블(공화. 노스캐롤라이나) 하원의원은 관련 내용의 공동결의안(H.CON.RES.91)을 하원 외교위원회에 제출한 상태다.

한반도 분단으로 발생한 이산가족은 현재 1,000만명, 이중 미주거주 한국계는 10만명 정도로 추정된다고 한다. 하지만 지난 2월까지 19차례의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행사가 열렸으나 그동안 미국계 한국인은 번번이 제외된 게 사실이다. 미국이 북한과 외교관계가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번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을 보면서 미국계 한국인 이산가족은 벅찬 감격과 함께 한없는 부러움을 가졌을 것이다. 혈육간의 만남의 기쁨과 기다림의 뼈저린 아픔은 국적이나 거주지와 상관없이 같기 때문이다.


미국시민권자 이산가족도 한국인과 같이 혈육과의 상봉을 기다리는 이산가족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시민권자라는 이유로 혈육을 만나지도, 이산가족 공식행사에도 참여하지 못하는 건 잘못된 일이다. 헤어진 혈육을 만나는데 무슨 국적이 필요하고 정치적인 이슈나 이해관계가 중요하단 말인가.

이들도 마찬가지로 북한에 가족을 두고 미국에 이민 왔으며, 오랜 세월 헤어진 가족을 애타게 그리워하며 만날 날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다. 이들의 가족상봉은 한반도 분단으로 인해 생긴 수많은 이산가족의 살아생전 염원이고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문제다. 살아생전 이들의 한을 풀어주는 것은 국적과 상관없이 인도적인 차원에서 마땅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번 미국정치인들의 시민권소지 한국인의 이산가족 상봉 촉구 결의안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 모처럼 발의된 결의안이 반드시 법제화돼 미국에 산재한 미국계 한국인 이산가족의 한을 하루 속히 풀어주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