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다루어본 보편적 규격과 형태의 캐비닛에 이어 다양한 부엌 공간을 효과 있게 활용 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부엌의 배치와 동선에 대하여 다루어보기로 하자.
부엌은 다양한 모양과 사용자의 개인적인 요구에 의해 설계되어 질 수 있으나 보편적으로 냉장고와 부엌 싱크와 쿡 탑(cook top)의 삼각(triangle) 배치의 효율적 연결 관계에 따라 기본적인 부엌의 배치(lay-out)가 결정된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부엌이 있을 수 있으나 부엌 사용자들의 요구와 공간에 가장 근접하게 선택할 수 있는 7가지의 가장 기본적인 부엌의 배치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그 예로는 일자형(one-wall kitchen), 복도형(corridor kitchen), 병렬형(galley kitchen), ㄱ형(L-shape kitchen), ㄷ형(U-shape kitchen), G형(G-shape kitchen), 복합형(L shape with island)이 있다.
부엌 배치(Kitchen Layouts)
1. 일자형(One-wall Kitchen)
가장 간단하고 기본적인 형태의 부엌으로서 벽을 따라 부엌 싱크를 중심으로 디시워셔(dish washer)와 쿡탑을 좌우로 배치하는 전통적 방식으로 문이나 창문이 적은 벽에 위치해야 효과가 있으며 수납공간 등에 제한이 있으나 ㄱ형이나 ㄷ형으로 쉽게 변환할 수 있으며 만약 앞쪽으로 충분한 폭의 공간이 있다면 아일랜드 캐비닛을 설치하여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해 낼 수 있다.
2. 복도형(Corridor Kitchen)
아파트먼트와 같이 제한된 공간 특히 평행한 두 벽 사이에 위치한 부엌의 형태로 부엌을 통한 통행이 수반되는 형태의 부엌이다. 장점으로는 공간 효율성이 좋으며 많은 부엌 기구(kitchen appliances)와 수납공간을 창출해 낼 수 있으나 작업공간이 충분치 않을 경우 크고 작은 연회(entertainment)에는 적당하지 않은 부엌이다.
3. 병렬형(Galley Kitchen)
전자의 복도형과 유사한 형태의 부엌으로 다른 점이 있다면 두 벽 중 한 쪽 벽만 개방된 형태의 부엌이다. 따라서 부엌을 통과하는 통행은 없으나 6피트 이상의 작업공간이 필요하며 냉장고는 다이닝 쪽으로부터의 접근이 용이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임우성 / 칼 시티 컨스트럭션 대표
(562)404 -4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