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코골이

2008-04-28 (월) 12:00:00
크게 작게
이상원(소아과 전문의)


질문: 낮에 아무렇지 않게 잘 놀다가 잠이 깊이 들면 코를 심하게 고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잠자는 자세를 바꿔주면 잠시 괜찮아지다가 다시 소리를 내지요. Zyrtec이라는 앨러지 약을 먹여도 별 효과가 없습니다.

답변: 잘 때 코를 고는 아이들과 성인들이 의외로 많다. 잘 때 코를 심하게 고는 아이들도 있고 가끔 고는 아이들도 있다. 코고는 정도에도 차이가 많다.


코고는 원인을 확실히 아는 경우도 있고 확실히 모르는 경우도 많다. 그 원인과 치료에 관해서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상기도의 해부학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양쪽 콧구멍에서 후두까지의 기도 부위를 상기도라 한다.
상기도에는 비강, 부비동, 아데노이드, 편도선, 연구개, 목젖, 인후, 혀뿌리, 인두후부 등이 있다. 그 상기도 이하의 기도를 하기도 한다. 이 상기도의 일부가 어떤 원인으로 일부분이 일부 막힐 때는 호흡곤란이 생기고 그로 인해 코를 골 수 있다.

상기도가 막히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태어날 때부터 상기도에 있는 선천성 기형, 후천적으로 편도선 및 아데노이드가 비정상적으로 비대해지면 상기도의 일부분이 일시적으로 막힐 수 있고 그로 인해 코를 골 수 있다.코고는 원인의 대부분은 선천성 기형으로 인해 상기도의 일부가 막혀서 생기는 것보다 후천적으로 편도선 비대 및 아데노이드 비대와 상기도의 다른 부분이 상호작용해서 코를 고는 경우가 많다.

편도선 비대와 아데노이드 비대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상기도에 생긴 전염병이나 앨러지이다. 아이가 아토피성 체질이거나 천식, 습진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과거나 현재 앓은 병력이 있
으면 아마도 앨러지에 의해 편도선 비대 및 아데노이드가 비대가 돼서 그로 인해 코를 골 수 있다.편도선 비대 및 아데노이드 비대로 인해 상기도의 일부분의 크기가 좁아지고 연구개, 후비공, 인두 후부의 벽, 혀 등의 근육들이 숨쉴 때마다 비정상적으로 진동될 때 코를 고는 소리가 날
수 있다.

가령 코를 골면서 자는 아이들의 머리나 목의 위치가 바꾸면 일부 막힌 상기도의 부위가 열려지거나 더 막힐 수 있고 그로 인해 코고는 소리가 덜하거나 더할 수 있고, 또 코고는 소리가 적게, 크게, 계속 또는 그칠 수 있다.아이가 코를 골 때 어떤 원인으로 고는지 알아보기 위해 소아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는 것이 우선 할 일이다.편도선 및 아데노이드가 비정상적으로 비대해 코를 골면 그 비대된 원인을 알아본다. 즉 전염병으로 인해 생겼는지, 앨러지로 인해 생겼는지 또는 다른 원인으로 인해 생겼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전염병으로 비대했으면 무슨 전염병으로 비대한 것인지 알아보고 그 원인에 따라 치료한다.앨러지에 의해 비대했다면 어떤 앨러지 항원에 의해서 비대했는지 알고 그 항원을 피하고 또는 약물이나 다른 방법으로 앨러지를 적절히 치료한다.상기도가 심히 막히면 자다가 갑자기 깨기도 하고 잠을 충분히 잘 수 없다. 이런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면 그로 인해 성장 발육이 지연되거나 학업 장애, 고혈압, 낮 시간대 졸림, 집중력 결여, 심장 이상 등이 생길 수 있다.

아데노이드 및 편도선이 비대해 상기도의 일부가 막혀 심하게 코를 골 때에는 아데노이드 및 편도선 절제 수술로 치료하기도 한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