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국민까지 노리는 보이스피싱
2025-11-21 (금) 12:00:00
얼마전 캄보디아 등에 거점을 두고 온라인 사기를 일삼던 기업형 보이스피싱 범죄 조직 문제가 한국에서 크게 부각됐었다. 그런데 이같은 범죄의 손길이 이제 미국의 재외국민들에게까지 미치고 있는 상황이 매우 심각한 지경에 이르고 있다.
올들어 미주 한인들을 대상으로 주미대사관과 각 지역 총영사관을 사칭하는 전화사기 시도들이 급증한 가운데, 이같은 사기 전화를 받았다는 한인들의 문의와 신고가 LA 총영사관에 많게는 하루 20여 건씩 들어왔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올들어 LA 관할에서만 최소 4건의 실제 재정적 피해가 발생했다고 한다. 이는 미주 한인사회가 보이스피싱 범죄로부터 결코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문제는 이들 범죄의 방식이 갈수록 치밀하고 교묘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발신 번호를 실제 LA 총영사관이나 한국 정부기관 번호와 똑같이 조작하는 것은 기본이고, 심지어 며칠에 걸쳐 사전 접촉을 반복하며 피해자와 신뢰를 쌓은 뒤, 마치 실제 공문 절차가 있는 것처럼 접근한다고 한다. 영상통화를 위해 한국 정부기관처럼 꾸민 가짜 배경 세트까지 동원한다니 더는 ‘어설픈 사기’로 치부할 수도 없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피해자의 공포심과 불안감을 집요하게 이용한다. 한국 검찰, 경찰, 금융기관을 사칭하며 법적 문제나 범죄 연루 가능성을 언급하는 순간 많은 재외국민들은 ‘혹시나’ 하는 공포에 휘둘리게 된다. 해외에서 보호받기 어렵다는 심리적 불안까지 더해지면, 이 범죄는 단순 사기가 아니라 재외국민의 심리를 파고드는 구조적 범죄가 된다. 많은 한인들이 여전히 “설마 나에게까지?”라고 방심하고 있는 동안 범죄자들은 그 틈을 노린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우리 스스로의 경각심이다. 총영사관·대사관·검찰·경찰은 절대 전화로 개인 금융정보나 주민번호를 요구하지 않으며, 공소 전달·사건 통지·영장 확인을 전화로 요구하는 절차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공관 사칭범이 링크 접속이나 앱 설치, 서류 사진 제출 등을 요구하는 순간 이는 100% 사기라고 보면 된다. 보이스피싱은 예방만이 해결책임을 기억하고, 이같은 악질적 범죄의 표적이 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