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값 2주 만에 다시 최고치
▶ 미국선 알루미늄 웃돈 사상 최고

1㎏짜리 금괴[로이터]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다음달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면서 국제 금값이 2주 만에 다시 최고치를 기록했다.
로이터 통신은 10일 오후 금 현물 가격이 2.8% 상승해 온스당 4,111.39달러에 거래되며 지난달 24일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뉴욕 시장에서 거래되는 금 선물 가격도 온스당 4,122.0달러로 2.8% 올랐다.
로이터는 미국 경제 데이터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거란 기대가 커졌고 이것이 금에 대한 수요를 키웠다고 진단했다.
귀금속 거래소 제이너 메탈스의 피터 그랜트 부사장은 "지난주의 부진한 데이터로 시장이 연준에 대한 기대에서 좀 더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적으로 기울었다"며 "12월에 여전히 금리 인하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주 나온 민간 데이터는 10월 미국의 고용이 정부 및 소매 부문에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비자심리지수도 이달 초 급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시장은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64%, 내년 1월까지 인하 가능성을 77%로 보고 있다.
실물 자산인 금은 저(低)금리 환경, 또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을 때 통상 수익률이 올라간다.
그랜트 부사장은 올해 연말이면 금 가격이 온스당 4,200∼4,3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으며, 내년 1분기 중에는 5,000달러까지 치솟는 것도 충분히 합리적인 목표가라고 말했다.
색소 은행의 원자재 전략 책임자 올레 핸슨은 미 연방정부 재가동이 데이터 발표를 복원하고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을 되살릴 것이라면서도 "더 중요한 것은 이로 인해 시장의 초점이 악화하는 미국의 재정 전망으로 되돌아간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은 현물 가격도 이날 4.5%나 상승하며 온스당 50.46달러로 올랐다. 이는 지난달 21일 이후 최고치다.
또 지난 7일 미국 현물 시장에서 알루미늄 소비자들이 지불하는 프리미엄은 가파른 수입 관세에 글로벌 공급 부족이 겹치며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고 로이터가 10일 전했다.
미 중서부 지역의 관세를 포함한 알루미늄 프리미엄은 이날 톤(t)당 1,942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기에 톤당 2,850달러인 알루미늄 가격을 더하면 미국 구매자들은 톤당 4,792달러를 지불해야 한다.
미국의 알루미늄 구매자는 런던금속거래소(LME)의 기준 가격에 화물 운송비와 세금 등을 포함하는 프리미엄을 부담해야 한다.
이날 가격을 기준으로 보면 미국에 수입되는 알루미늄에 붙는 관세는 톤당 1,425달러로, 올해 초 560달러에서 크게 오른 것이라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월 미국 내 알루미늄 생산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겠다며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두 배인 50%로 인상한 바 있다.
컨설팅 업체 하버 알루미늄은 이번 가격 급등이 미국 내 재고 감소와 캐나다산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에 면제가 없을 것이란 시장의 강한 확신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미국의 캐나다산 알루미늄 수입량은 270만여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70%를 차지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