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조현 “韓, 두 국가 해법 실현 도움될 때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2025-09-23 (화) 04:09:03
크게 작게

▶ 조 장관 “두 국가 해법만이 이-팔 평화구축 유일한 실행가능 경로”

▶ 안보리 고위급 회의 연이어 주재…북러 군사협력엔 우려 표명

조현 외교부 장관은 2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회의에서 "한국은 두 국가 해법 실현에 진정으로 도움이 될 시점에 팔레스타인 국가를 승인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이날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보리의 팔레스타인 문제 고위급 회의에서 "한국 정부는 두 국가 해법에 기반한 중동 지역의 평화와 안정 구축을 위한 국제사회의 증가하는 노력에서 마땅한 역할을 계속할 것"이라며 이처럼 말했다.

이날 회의는 9월 안보리 의장국인 한국을 대표해 조 장관 주재 아래 열렸다.


그는 "한국은 자신들만의 국가를 세우려는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열망을 깊이 이해한다"며 "우리는 두 국가 해법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적인 평화를 구축하는 유일한 실행 가능한 경로라고 생각한다"라고 강조했다.

조 장관의 이 같은 언급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문제가 올해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에서 가장 첨예한 현안으로 떠오른 가운데 나왔다.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전날 유엔총회장에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2개의 주권국가로 공존하는 '두 국가 해법'을 논의하는 고위급 회의를 주재하면서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선언했다.

그에 앞서 지난 주말부터 캐나다, 호주, 영국, 포르투갈, 몰타 등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이 이어졌다.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를 앞두고 서방 국가들의 잇따른 국가 인정 선언이 이어지면서 주요 20개국(G20) 국가 가운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은 나라는 미국과 독일, 이탈리아, 일본, 한국 등 5개국이 남게 됐다.

한국은 지난해 4월 유엔 안보리에서 이뤄진 팔레스타인의 유엔 정회원국 가입 표결에서 기존 입장을 바꿔 찬성표를 던진 바 있다.

이어 지난 12일 유엔총회가 팔레스타인 문제의 평화적 해결 방안으로서 두 국가 해법의 이행을 지지하는 결의를 채택할 당시 찬성표를 던진 142개국에 합류했다.


다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는 문제에 대해선 유보적인 입장을 견지해왔다.

한편 이날 회의는 이스라엘의 '맹방'인 미국과 그 외 나머지 이사국 간 좁혀지지 않는 이견만 재확인한 채 종료됐다. 이스라엘은 이날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마이크 왈츠 주유엔 미국대사는 "일방적인 (국가) 승인 성명들은 실제 벌어지는 현실을 바꾸지 않는다"며 "즉, 승인할 팔레스타인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바꾸지 못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유대교 새해 명절(로시 하샤나) 기간인 이날 안보리 회의를 소집한 데 유감을 표하면서 "오늘 회의는 안보리가 실제로 평화를 진전시키려는 진지한 노력보다 퍼포먼스(보여주기)를 우선시해왔다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반면 이샤크 다르 파키스탄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은 "가자지구는 인간성과 세계 양심의 무덤이 됐다"며 "말로 해야 할 때는 지났고 이제는 행동에 나서야 할 때"라며 즉각적인 휴전을 촉구했다.

한편 조 장관은 이어진 우크라이나 의제 안보리 고위급 회의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에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조 장관은 북러 군사 협력에 대해 "그러한 협력은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훼손하고, 우크라이나 분쟁을 연장시키며, 한반도에서 심각한 안보 우려를 키운다"며 "북한의 개입은 이 전쟁이 유럽만의 문제가 아님을 보여준다"라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와 북한은 즉시 모든 협력 활동을 중단하고 관련 안보리 결의를 준수할 것을 촉구한다"라고 말했다.

우크라이나 의제 회의 역시 9월 의장국인 한국을 대표해 조 장관이 주재했다.

이해 당사국인 우크라이나에서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이 직접 참석해 "평화를 이루기 위해 미국의 행동이 러시아를 압박하기를 기대한다"며 "모스크바는 미국을 두려워하고 항상 주목한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중국을 향해 "러시아가 현재 완전히 의존하고 있는 강력한 국가"라며 "만약 중국이 진정 전쟁을 멈추기를 원한다면 중국은 침략을 끝내라고 모스크바에 강요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고위급 회의로 개최된 이날 회의에는 우크라이나 외에 체코, 슬로바키아, 핀란드, 에스토니아, 스페인, 룩셈부르크 등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대통령 또는 총리가 참석해 발언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