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관세·노후화·인건비 ‘삼중고’… 차 수리비 최대 상승

2025-09-23 (화) 12:00:00 박홍용 기자
크게 작게

▶ 8월 한달에만 5%나 급등
▶ 해외부품에 25% 관세붙어

▶ 기술자 부족에 임금 올라
▶ 비용 추가 상승 불가피

관세·노후화·인건비 ‘삼중고’… 차 수리비 최대 상승

자동차 수리비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급등하면서 소유주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한 정비소에서 정비공이 자동차를 수리하고 있다. [로이터]

자동차 수리비가 천정부지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신차 가격은 비교적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수리비만큼은 관세·차량 노후화·인건비 상승 등 복합 요인으로 치솟으며 미국 가계에 직접적인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22일 소비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자동차 수리비는 7월에서 8월 사이 한 달 만에 무려 5%나 급등했다. 이는 사상 최대 월간 상승률이며, 1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15%나 치솟았다.

▲ 관세, 수입 부품 가격 급등의 뇌관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 대한 관세는 이미 수십억 달러 규모에 달한다. 특히 애프터마켓 부품 대부분이 해외에서 수입되는 만큼, 최대 25%의 관세가 붙는다. 자동차 정보업체 콕스 오토모티브의 스카일러 채드윅은 “관세가 영향을 미쳤느냐는 질문에 당연하다고 답할 수밖에 없다”며 사실상 100% 미국산 부품으로만 만든 차량은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결국 미국산 자동차를 수리할 때조차 멕시코나 해외에서 들여온 부품을 사용해야 하고, 그만큼 가격 상승은 불가피하다. 그는 “부품 가격이 엄청나게 올랐고, 일부 운전자는 운 좋게 미국산 부품을 쓸 수 있겠지만 대부분은 25% 인상된 부품 가격을 감당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차량 노후화와 대체 수요

물론 수리비 급등이 단순히 관세 때문만은 아니다. 채드윅은 도로 위를 달리는 차량의 노후화를 중요한 요인으로 꼽는다. 신차 가격이 이미 역사적 고점에 근접한 데다, 높은 대출 금리로 인해 소비자들은 차를 교체하기보다 오래 사용하려는 경향이 강해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내 평균 차량 연령은 2024년 12.6년에서 2025년 12.8년으로 0.2년 상승했다. 그는 “이 정도의 증가폭은 흔치 않은 수준”이라며, 오래된 차량일수록 변속기, 서스펜션, 엔진 재조립 같은 고비용 정비가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앤더슨 경제 그룹의 패트릭 앤더슨 회장 역시 “소비자들이 새 차가 더 비싸다고 판단하면, 기존 차량을 수리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돈을 쓰게 된다”고 말했다.

▲ 기술자 부족과 임금 상승

또 다른 문제는 인건비다. 채드윅은 “수리비의 60% 가까이가 인건비에서 발생한다”며 기술자 부족으로 임금이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동부에 따르면 자동차 수리 인건비는 2023년에서 2024년 사이 7% 상승했다. 여기에 차량의 첨단화가 더해지며 정비 난이도와 시간이 늘어난 것도 수리비 폭등을 부추기고 있다.

▲ 중고차 가격 상승과 대출 부담


수리비 상승은 자동차 시장 전반의 가격 구조와도 맞물려 있다. 에드먼즈에 따르면 8월 신차 평균 거래가는 4만8,365달러로 2019년보다 30% 이상 높다. 중고차 역시 같은 기간 26% 상승했고, 특히 3년 이하 연식 차량은 40%나 올랐다. 신차 대출과 리스를 포함한 월 납입금의 15% 이상이 1,000달러를 초과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중고차 구매자의 30%도 월 600달러 이상을 부담 중이다. 결국 높은 차량 가격과 대출 금리가 맞물리면서, 소비자들은 새 차 구입 대신 노후 차량을 수리하는 길을 택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끝나지 않을 수리비 상승 압박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관세 충격을 흡수하며 신차 가격을 억제하고 있지만, 부품 가격과 수리비까지 막아내기는 역부족이다. 부품 공급의 글로벌 의존도, 차량 노후화, 기술자 부족, 그리고 첨단화된 차량 구조까지 복합 요인이 맞물리며 수리비는 앞으로도 오름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 채드윅은 “기술자 부족은 심각한 문제이고, 인건비는 앞으로도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홍용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