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빅쇼트’ 주인공 공매도 투자자 “내가 돌아왔다”…AI 거품 경고

2025-11-24 (월) 10:29:15
크게 작게

▶ 금융위기 전 “집값 거품없다” 그린스펀 발언과 최근 파월 발언 비교부각

영화 '빅 쇼트'의 실제 인물로 유명한 공매도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24일 제롬 파월 현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최근 발언과 과거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 전 앨런 그린스펀 전 연준 의장의 발언을 대조하며 인공지능(AI) 기업 관련 거품 붕괴 경고를 지속했다.

버리는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그린스펀은 2005년 '집값에 거품이 있어 보이지 않는다'라고 했고, 파월은 'AI 기업들은 실제로 수익을 내고 있다. (2000년 '닷컴버블' 때와는) 사정이 다르다'라고 했다"라고 적었다.

버리는 이어 "내가 다시 돌아올 수 있을지 의구심이 있었지만, 나는 돌아왔다"라며 자기 생각을 담은 유료 뉴스레터 운영을 시작했다고 알렸다.


그는 닷컴 버블 붕괴 직전인 2000년 2월 21일 샌프란시스코 지역 매체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이 자신이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의 하락에 베팅해 공매도하고 있음을 보도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해당 보도 시점 이후 아마존 주가는 2001년 9월 저점까지 약 90% 추가 하락했다.

자신이 2000년 정보기술(IT) 거품 붕괴를 예측한 이력이 있음을 알리면서 2008년 주택대출 부실이 촉발한 금융위기를 앞두고 '집값에 거품이 없어 보인다'라는 그린스펀 전 연준 의장의 발언과 AI 기업 관련 파월 의장의 발언을 대치시켜 현재 AI 거품 붕괴 우려가 있다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려 한 것으로 풀이된다.

파월 의장은 지난달 연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뒤 회견에서 AI 거품론에 대해 관련 기업들이 "실제로 수익을 내고 있다"고 평가하며 닷컴 버블 시기와는 사정이 다르다는 취지로 발언한 바 있다.

버리는 2008년 금융위기를 앞두고 미국의 비우량 주택담보대출의 몰락에 베팅하고 큰돈을 벌어 유명해진 인물이다.

그의 투자 스토리는 마이클 루이스의 책 빅 쇼트에 소개됐고, 동명의 할리우드 영화로도 제작됐다.

그는 최근 자신이 AI 관련 대표 종목인 엔비디아와 팔란티어를 공매도하고 있음을 공개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