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스앤젤레스의 UCLA 캠퍼스[로이터]
미국 공립대학인 캘리포니아대(UC) 소속 교수와 학생단체, 직원 노조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학 지원금 지급 중단에 반발해 소송을 제기했다.
17일 AP와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UC 교육 시스템에 소속된 교수, 학생, 교직원 단체 연합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학 측에 재정 지원금 삭감을 위협하지 못하게 하고, 이미 중단한 지원금을 복원하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소송을 전날 캘리포니아 연방법원에 냈다.
이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고등교육 기관의 독립성에 가한 이 공격에서 반복적으로 쓴 무자비한 수단은 해당 기관이 의존하는 연방 연구 자금의 갑작스럽고 일방적이며 불법적인 중단이었다"고 주장했다.
앞서 제임스 밀리컨 UC 총장은 성명을 통해 연방 정부가 UC 소속 10개 캠퍼스 전체를 대상으로 일련의 조사와 관련 조치를 개시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구체적인 조사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밀리컨 총장은 "157년 역사상 UC에 가해진 가장 심각한 위협 중 하나"라면서 UC 전체 시스템이 매년 170억달러(약 23조4천억원)가 넘는 연방 지원금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UC는 캘리포니아대 로스앤젤레스(UCLA)와 캘리포니아대 버클리(UC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UC샌디에이고) 등 10개 캠퍼스로 구성된 캘리포니아주의 공립 대학교 시스템을 말한다.
UCLA는 지난달 연방 정부가 5억8천400만달러(약 8천억원)의 지원금을 동결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캠퍼스 내 반(反)유대주의를 이유로 하버드대와 컬럼비아대 등 동부 아이비리그의 명문 사립대를 압박한 데 이어 근래 처음으로 공립대이자 서부 명문으로 꼽히는 UC 시스템을 정조준해 지원금 삭감 등을 위협해 왔다.
아울러 트럼프 행정부는 UC 대학들이 2023년 연방대법원이 내린 결정에 따라 대학 입시 과정에서 소수인종 우대 정책(Affirmative action)을 실제로 폐지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