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텍사스 홍수 사망자 120명…재난관리청 축소·늑장대응 논란

2025-07-10 (목) 01:33:21
크게 작게

▶ 실종자 170여명…CNN “재난관리청 지출승인 절차탓에 수색 지연”

텍사스 홍수 사망자 120명…재난관리청 축소·늑장대응 논란

텍사스주 커 카운티에서 작업 중인 실종자 수색대[로이터]

텍사스주 중부 내륙 지역에서 발생한 홍수 참사 인명피해가 120명으로 늘었다.

대규모 실종자 수색이 일주일 가까이 이어지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재난관리청(FEMA) 축소와 지출 삭감 탓에 빚어진 늑장 대응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10일 CNN과 NBC 방송 등 미 언론에 따르면 지난 4일 텍사스주 커 카운티 일대를 덮친 홍수 사태 사망자는 이날 오전까지 120명으로 집계됐다.


전날 확인된 사망자 수에서 1명이 늘어난 수치로, 실종자 수색에는 별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실종자 수 공식 집계는 지난 8일 텍사스 주지사가 밝힌 173명 이후 변경되지 않았다. NBC는 여전히 173명, CNN은 160여명이 실종자 수로 추정된다고 이날 전했다.

미 언론은 재난 관리 총괄 기관인 FEMA의 이번 사태 대응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FEMA의 정규 인력을 대폭 축소했고,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일정 한도를 넘는 지출 시 장관 승인을 받게 하는 절차를 만든 탓에 현장에 인력 투입이 늦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FEMA 관계자들은 NBC 인터뷰에서 트럼프 행정부 들어 FEMA의 정규직 인력이 3분의 1 수준으로 줄었으며 재난 대응 경험이 많은 관리자들이 상당수 기관을 떠났다고 말했다.

CNN은 FEMA를 감독하는 국토안보부의 크리스티 놈 장관이 근래 FEMA의 지출을 줄이기 위해 10만달러(약 1억4천만원) 이상의 외부 용역 계약에 대해 장관 승인을 받도록 하는 규정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FEMA 내부자들은 일반적인 재난 대응 비용에 비춰볼 때 10만달러는 소액에 해당한다면서 이 금액 이상을 승인받는 절차로 인해 재난 발생 직후 긴급한 상황에 적시에 대응할 수 없게 됐다고 토로했다.

이번 텍사스 홍수 발생 직후에도 FEMA가 현장에 즉시 투입될 수 있는 비상 인력과 장비를 파견하는 과정에서 비용 문제로 놈 장관의 승인을 받는 절차를 거쳐야 했고, 놈 장관은 사태 발생 후 72시간이 지난 7일에야 이를 승인했다고 CNN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 때부터 FEMA를 축소하거나 폐지하고 각 주(州)가 재난 대응을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행정부 출범 직후 FEMA 점검 위원회 설치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고, 지난달에도 백악관에서 여름 산불 대비 방안을 논의하면서 "FEMA를 그만두게 하고 (산불 대응이) 주(州) 차원으로 내려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이번 텍사스 홍수 참사 이후 FEMA 폐지 계획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나중에 논의할 문제"라며 답을 피했다.

1979년 설립된 FEMA는 재난이 발생한 지역 당국이 요청하면 연방 정부의 자원을 동원해 구조·구호·재건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해왔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