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이란, 트럼프의 ‘핵합의 백지화 재발방지’ 보장 원해”

2025-04-20 (일) 10:33:11
크게 작게

▶ “이란, 미국의 합의 이탈시 이란의 손실 보상받길 원해”

▶ 이란 외무장관, SNS에 “과거 핵합의로부터 교훈 얻었다”

“이란, 트럼프의 ‘핵합의 백지화 재발방지’ 보장 원해”

이란의 압바스 아락치 외무장관[로이터]

미국과 핵협상을 벌이고 있는 이란이 미국에 의한 핵합의 백지화의 재발 방지에 대한 보장을 원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9일 보도했다.

이란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인 2015년 '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이라는 이름의 합의를 도출했으나 2017년 출범한 트럼프 1기 행정부가 합의에서 탈퇴한 것이 이번에는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보장을 원한다는 것이다.

즉, 이란은 앞으로 미국과의 협상에서 합의가 도출되면 거기서 이탈하지 않을 것이라는 보장을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받길 원하며, 특히 미국이 합의에서 이탈할 경우 이란이 입은 손실을 보상받길 원한다고 WSJ은 전했다.


19일 오만의 중재 하에 로마에서 열린 미국과의 2차 회담에 참석해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특사와 소통한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도 새 합의가 JCPOA의 '재판'(再版)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우리는 JCPOA가 더 이상 우리에게 충분히 좋은 합의가 아님을 이란에서 얼마나 많은 이들이 알고 있는지를 분명히 밝혔다"며 "그 합의로부터 남은 것은 '교훈'을 얻었다는 것"이라고 썼다.

2015년 미·중·러·영·프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5대 상임이사국(P5)과 독일, 유럽연합(EU) 등이 이란과 합의해 만든 JCPOA는 이란이 보유한 핵물질(농축우라늄)과 핵물질 제조 시설을 줄이고, 이란 핵시설을 국제적 통제 하에 두는 대가로 대이란 제재를 해제하는 것이 골자였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인 2018년 JCPOA에서 탈퇴하면서 합의는 사실상 휴지 조각이 됐다.

그 후 이란은 핵무기가 없는 국가 중 유일하게 우라늄 농축도를 핵무기급(90%)으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는 수준인 60%까지 높임으로써 국제사회의 우려를 키웠다.

JCPOA를 주도했던 미국 오바마 행정부는 미 연방 상원의원 3분의 2의 동의가 필요한 조약 형태를 취하기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법적 구속력이 없는 '행동계획' 형태를 대안으로 추진해 합의했으나 일방의 탈퇴를 막을 수 있는 장치가 없다는 한계가 여지없이 드러난 것이다.

아울러 이란 측은 자신들이 보유한 농축우라늄의 관리 방안을 미국과의 새 합의에 담길 원한다고 WSJ은 전했다. 이란 측은 농축우라늄을 현재의 국제원자력기구(IAEA) 대신 러시아 관리 하에 두는 방안에 열려 있는 입장이라고 신문은 소개했다.


아울러 이란 측은 자국에 대한 경제 제재 해제 절차와 고위급 대표단의 미국 방문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WSJ은 전했다.

미국과 이란은 12일 오만에서 1차 회담을 한 데 이어, 이날 로마에서 약 4시간에 걸친 2차 회담을 했다. 미국과 이란 모두 '진전'이 있었다고 평가한 가운데, 양측은 23일부터 오만에서의 전문가급 기술적 협상을 거쳐 26일 오만에서 후속 고위급 회담을 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