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DC 미주한인 낙상 통계
▶ 5~6년새 50%가까이 늘어
인구 고령화 등으로 낙상 사고가 많아지는 가운데 한인 시니어들에게도 위협이 되고 있다. 고령자의 낙상은 장기간 요양과 반복적인 입원을 초래하고 노년기 체력 손실과 사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연방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의도치 않은 낙상 사고가 주 원인으로 사망한 65세 이상 한인은 97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도인 104명보다는 소폭 줄었지만, 2018년의 65명 보다는 49.2% 많은 숫자였다. 연도별로는 2018년 65명, 2019년 91명, 2020년 85명, 2021년 111명, 2022년 115명, 2023년 104명 등을 기록했다.
2018년부터 2024년까지 총 668명으로, 7년간 연평균 95.4명씩 사망한 셈이다. 특히 최근 4년간만 고려할 경우 연평균 106.8명으로 나타났다. 그 외 연령대도 있지만 한인 낙상 사고 사망자는 65세 이상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낙상은 미 전체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CDC는 지난 2020년 기준 65세 이상 성인의 4명 중 1명이 낙상을 경험했다며 낙상이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CDC에 따르면, 2020년 기준 65세 인구의 27.6%를 차지하는 약 1,400만명이 지난 1년내 의도치 않은 낙상 사고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28.9%)이 남성(26.1%)보다 조금 더 높았다.
CDC에 따르면 2018년 3만2,522명, 2019년 3만4,211명, 2020년 3만6,508명, 2021년 3만8,742명 등으로 매년 증가해 왔으며, 2022년 4만919명으로 4만명을 처음으로 넘어섰다.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하다. CDC가 꼽은 낙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하체 근력 약화, 비타민D 결핍, 보행 및 균형 장애, 보행이나 균형 감각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복용(진정제, 수면제, 항우울제 등), 시력 문제, 발 통증 또는 불편한 신발, 생활환경 내 위험요소(깨지거나 울퉁불퉁한 계단, 전선이나 잡동사니과 같은 걸려 넘어질 수 있는 물건 등) 등이 있었다.
낙상은 한국에서도 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들이 다치는 가장 큰 원인은 집 등 주거지에서 발생하는 낙상·추락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한국 질병관리청이 2022년 250개 병원 퇴원환자를 표본 분석해 지난해 내놓은 ‘퇴원손상심층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노인 손상의 원인 중 낙상·추락이 65.1%로 가장 많았다.
<
한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