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측근 플라이츠 부소장 “훈련 일시적 중단 해롭지 않다”
▶ 韓리더십 공백 속 안보불안 고조…군 “연합훈련 예정대로 실시”
(서울=연합뉴스) 한미공군이 지난 22일(한국시간) 공군 원주기지에서 공군 대대급 연합공중훈련 쌍매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 한 FA-50 2기, 미 A-10 2기, 한 KA-1 2기. 2025.1.24 [공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협상 과정에서 훈련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것도 해롭지 않다고 본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 프레드 플라이츠 미국우선주의정책연구소(AFPI) 부소장이 지난달 24일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와 인터뷰에서 한미연합훈련과 관련해 한 말이다.
물론 개인적인 의견을 전제로 한 발언이지만 트럼프 집권 2기 대북 정책에 대한 다양한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제기된 것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그의 발언 이후인 지난달 27일 미국 국방부 당국자는 한미연합훈련 일정에 대해 의미심장한 발언을 했다. 이 당국자는 RFA의 질의에 "재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윤석열 한국 대통령의 탄핵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답변한 것이다.
이 당국자가 올해 한미연합훈련이 현재로서는 예정대로 실시할 것이라는 설명을 덧붙였지만 향후 언제든 트럼프 대통령의 판단에 따라 훈련이 중단될 가능성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시절 한미연합훈련에 대해 직설적인 발언을 여러차례 했다.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가진 후 한미연합훈련을 '군사연습(war games)'라 지칭하거나 "매우 도발적"또는 "돈 낭비"라고까지 말한 적이 있었다.
그는 "우리가 북한과 협상 중인데 굳이 돈을 들여 연합훈련을 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를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이후 한미연합훈련 가운데 대규모 야외기동훈련(FTX)은 유예되거나 축소된 일이 벌어졌다.
2019년에는 3대 연합훈련에 해당하는 키리졸브 훈련, 독수리(FE) 훈련, 을지 프리덤 가디언(UFG)이 유예되거나 연합지휘소훈련으로 축소되기도 했다.
1차 미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가 화해분위기 속에 급변하는 상황이었지만 당시에도 군사전문가들의 우려가 제기됐었다.
특히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미북정상회담이 '노딜'로 돌아간 이후 북한은 핵무력 고도화의 길로 질주하며 노골적인 핵위협을 가하고 있다.
북한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한미 양국은 2023년 상반기부터 다시 연합훈련을 재개했다.
그런데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하자 마자 다시 한미연합훈련 중단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는 것이다.
플라이츠 부소장의 발언을 보면 그 배경을 알 수 있다. 그는 "이러한 (한미연합)훈련이 여전히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북한과 선의의 협상을 할 가능성이 있다면"이라는 조건을 강조했다.
다시말해 트럼프 대통령의 재등장으로 김정은과의 정상회담이 추진될 경우 미국은 한미연합훈련을 다시 카드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집권 1기와 2기의 달라진 여건을 미국이 보다 신중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사실상 '핵무력 보유국가'가 된 북한의 핵위협을 억제할 연합훈련이 중단된다는 것은 한국의 핵 억제정책에 심대한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 군 관계자는 올 상반기에 연합연습인 '자유의방패(FS)' 훈련이 예정대로 실시하기로 미국 측과 순조롭게 이야기하고 있다고 해명했지만 상황이 바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한국은 탄핵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태다. 자칫 정상적인 외교채널이 가동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미국이 일방적인 행보를 보일 경우 한국의 대응이 불안해진다는 우려가 나올 수 있다.
북한 외무성은 지난달 26일 담화문을 통해 지난 21일부터 24일까지 실시된 한미 공군 연합훈련을 언급하며 "북한의 주권과 안전 이익을 거부하는 이상 미국과는 철두철미 초강경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력 반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을 향해 자신들과의 대화를 원한다면 연합훈련을 취소하라는 뜻을 우회적으로 내비친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예측할 수 없는 트럼프 대통령의 기질과 함께 한국의 리더십 공백 상태가 결부된 상황에서 주요 안보이슈에서 '한국 패싱'이 벌어질 가능성을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는 주문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