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앤디 김 기자회견서 강조 “한국에 대해 할일에 낙관 안해”

앤디 김(42·민주·뉴저지·사진)
한인으로는 처음 연방 상원에 진출한 된 앤디 김(42·민주·뉴저지·사진) 상원의원은 8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후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파트너 국가들에 강압적인 수단을 쓸 경우 “강하게 맞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워싱턴DC의 연방의회에서 한국을 포함한 아태 지역 국가 언론을 상대로 가진 기자회견에서 “솔직히 말해서 나는 트럼프 당선인이 인도·태평양, 한국에 대해 할 일에 대해 낙관하지 않는다”며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이 전날 기자회견에서 파나마운하와 그린란드 장악을 위해 군사력과 경제적 강압 수단을 사용하는 것을 배제한다고 약속하지 않겠다고 말한 것과 관련한 언급이었다.
김 의원은 “나는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 지명자 등과 대화했다”며 “나는 그들에게 미국이 한미일 3국 협력의 과정을 계속 이어가야 한다는 희망을 직접 제기했다”고 소개했다.
이어 김 의원은 “나는 트럼프 행정부가 동맹과 파트너 관계를 강화하려 노력하면 트럼프 행정부에 기꺼이 협력할 것이나, 그들이 파트너십을 약화하는 행동을 한다면 나는 맞설 것이라고 했다”고 전했다.
또 김 의원은 비상계엄과 탄핵 국면이 이어진 한국 상황에 대한 견해를 질문받자 정치적 안정이 시급하다면서 한국 정치인들이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위해 상황을 이용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은 안정을 위해 정말로 중요한 시간”이라며 “특정인이 자신의 정치적 야심을 위해 상황을 이용할 때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한국의 정치인들은 지금 국민들이 모든 언행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듯 지켜보고 있음을 알고, 언행을 매우 신중하고 사려 깊게 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길 희망한다”고 조언했다.
김 의원은 이어 지난달 3일 윤석열 대통령(직무정지)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계엄 선포의 초기 행동들에 대해 분명 우려했지만 국회가 신속하게 해제를 결의하고 군이 그날 밤 그 명령(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에 따른 명령)을 지키는 것을 보면서 일이 도를 넘어선 때도 한국의 민주주의가 작동하고 있으며, 민주적 절차가 안정적인 방향으로 상황을 되돌릴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연방상원의원 선거에서 당선되며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 상원의원이 된 김 의원은 지난 3일 119대 미 의회 개원과 함께 상원의원으로서의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