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탠퍼드대 연구“고교생 60∼70% 경험”…과거와 비슷
▶ “AI에 대한 접근 방식 따라 많은 변화…적절한 교육 필요”
[사진]
챗GPT 등장 이후 학교에서 커지고 있는 학생들의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는 과장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탠퍼드대 연구진이 올해 40개 이상의 미국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학교 과제나 시험 등에서 AI를 이용해 부정행위를 해 본 적이 있다는 비율은 60∼70%였다.
이는 그동안 학생들의 부정행위와 관련한 조사 결과와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실제 2002년∼2015년 고등학생 7만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부정행위를 한 적이 있다고 답한 비율 64%였다.
스탠퍼드 교육대학원 데니스 포프 박사는 “그동안 AI 모델 등장으로 학교에서 부정행위가 증가할 것이라는 공포가 있었다”며 “그러나 우리는 데이터에서 그런 변화를 보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번 조사는 익명으로 했다”며 “학생들은 매우 솔직하게 설문에 답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의 조사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퓨리서치센터가 올해 9월 26일∼10월 23일 13∼17세 1,4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챗GPT를 학업에 이용해봤다는 비율은 응답자의 19%에 불과했다.
챗GPT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는 응답은 67%였지만,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는 비율도 33%로 챗GPT에 대한 인식은 크게 높지 않았다. 또 많은 학생은 새로운 주제를 연구하는 데 챗GPT와 같은 AI 사용을 허용해야 하고, 에세이를 쓰는 데에는 허용돼서는 안 된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약 70%가 새로운 주제를 연구하는 데 AI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한 반면, 에세이 작성에 허용돼야 한다는 응답은 20%에 불과했다.
연구진은 “대다수 학생이 AI를 학교 공부와 과제 수행에 필요한 시간 단축의 도구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AI를 진정으로 배우고 싶어 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챗GPT 도입 이후 미국 학교에서는 처음에는 사용을 금지했지만, 최근에는 많은 학교에서 AI 도구 사용을 장려하고 교육하고 있다고 CNN은 소개했다. 테네시주 밴더빌트대 컴퓨터사이언스 줄스 화이트 교수는 “AI는 무시할 수 없는 기술”이라며 “AI는 수요가 있는 모든 산업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