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본태성 진전(振)] ‘덜덜덜’ 떨리는 손…어떻게 치료하나?

2022-07-26 (화)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
크게 작게
손 떨림은 40세 이상에서 4% 정도 나타나는 흔한 운동장애다. 나이가 많아지면서 많이 발생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떨림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소뇌-뇌간-시상-대뇌피질로 연결되는 운동 기능 관련 신경회로가 비정상적으로 항진돼 떨림이 나타난다. 파킨슨병이나 근긴장이상증 등 운동장애에서 주증상 외에 손 떨림이 동반될 수 있으며 그 원인을 알기 어려우면‘본태성 진전(振顫)’이라고 부른다. 본태성 진전은 보통 안정된 상태에서 떨리지 않지만, 자세나 동작을 취할 때 떨림이 생긴다. 글씨 쓰기, 젓가락질 등 일상적 행위 중 발생할 수 있고 긴장하면 증상이 심해지므로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다.

이은정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의 도움을 받아‘손 떨림’ 치료법을 알아본다.

본태성 진전으로 인한 손 떨림에는 우선 약물 치료를 시행한다. 약물 치료로 환자의 3분의 2가 증상이 개선된다. 하지만 증상 개선 효과가 기대보다 미미하거나 약물 부작용을 겪을 때가 많아 고혈압·당뇨병 등 다른 만성질환보다 환자의 약물 순응도가 낮은 경향이 있다.


환자마다 적합한 약물의 종류 및 용량이 다르므로 전문의 진료를 통해 개개인에게 가장 효과적인 약을 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물 치료 효과가 불충분할 경우 수술을 고려된다. 수술은 떨림과 관련된 신경회로에 있는 시상 ‘중간 배쪽핵’을 표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응고술 △심부 뇌 자극술 △방사선 수술 △초음파 수술 4가지 방법이 있다.

모든 수술은 국소마취로 시행된다. 심부 뇌 자극술은 전기 자극으로 병소 신경 기능을 억제하고, 고주파 응고술, 방사선 수술, 초음파 수술은 각각 고주파 전기·방사선·초음파 에너지를 표적에 집적해 병소를 파괴한다. 환자 컨디션과 수술 장단점에 따라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고주파 응고술은 두개골 천공 후 전극을 삽입해 표적을 열 응고하는 수술법이다. 효과적이지만 표적 온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고, 병소가 비교적 크게 형성돼 신경학적인 합병증 발생률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심부 뇌 자극술은 두개골 천공 후 전극을 삽입해 고주파 전기 자극을 가해 표적을 기능적으로 억제하는 수술법이다. 수술 후에도 전기 자극 모드를 조절해 질병 진행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를 심는 것이므로 하드웨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전류 발생 장치를 몇 년마다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방사선 수술은 고용량 방사선을 쬐어 병소를 파괴하는 치료법으로 피부 절개나 천공이 필요하지 않아 고령의 환자에게 가능한 옵션이다.

그러나 증상 개선 및 후유증 발생 여부를 수술 중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수술법과 달리, 방사선 수술은 치료 효과가 수개월 후 나타난다. 따라서 수술 중 오직 영상에 기반해 간접적으로 표적을 정해야 하고, 이때 표적 위치가 정확하지 않으면 치료 효과가 감소하거나 신경학적인 후유장애 발생 가능성이 있다.


초음파 수술은 손 떨림 수술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수술법이다. 이는 두개골을 투과하는 다중 초음파를 표적에 집중해 치료하는데, 두께 등 두개골 상태에 따라 수술이 제한되기도 한다.

최근 MR 온도계를 통해 조직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적정 에너지를 표적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해져 초음파 수술의 활용 빈도가 늘어났다.

이 수술법은 초음파 에너지를 단계적으로 올리면서 떨림이 개선되는지, 신경학적 이상 증상은 없는지, 표적 위치는 적절한지 평가를 함께 진행한다.

또한 치료 중 자기공명(MR) 영상 가이드에 따라 병소 위치, 크기, 실시간으로 병소가 만들어지는 모습 등을 모니터링할 수 있어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것이 장점이다.

수술 후에도 하드웨어 문제가 없고, 후유증이 있더라도 대부분 일시적이고 경미하므로 특히 안전성 측면에서 다른 수술보다 장점이 많다.

<권대익 의학전문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