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한적 경제정상화에 인건비^렌트비 걱정
▶ 내달 초 84%의 중소업체 대출금 소진 전망 정부의 추가 지원책 없이 버티기 힘들어
PPP 론을 받아 확보한 대출금마저 고갈되면서 어려움을 호소하는 한인 소상인들이 늘고 있다. 맨하탄 32가 한인타운에 설치된 ‘오픈 레스토랑’.
#맨하탄에서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한인 김모씨는 가게 문을 계속 열어야 할지 고민이 깊다. 연방중소기업청의 ‘급여보호프로그램’(PPP)을 통해 대출 받은 5만 달러가 다음 달 초면 모두 소진되는데, 문을 닫는 것이 여는 것보다 손해가 덜 할 것이란 계산 때문이다. 김씨는 “매상까지 바닥을 치고 있는 상황이라 인건비와 렌트비를 더는 감당할 수 없다”며 “추가 지원책이 나오지 않으면 더 이상 버틸 수 없다”고 하소연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뉴욕시의 경제정상화 조치가 제한적으로 시행되면서, 뉴욕일원 한인 소상인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급여보호프로그램’(PPP)으로 당장 급한 불은 껐지만 실내 영업재개와 같이 제한 없는 ‘정상 영업’으로의 복귀가 지연되면서 생존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내 몰리고 있는 것. 정부의 추가 지원책 마련이 절실한 이유다.
연방중소기업청(SBA)에 따르면 ‘경기부양 패키지법’(CARES Act) 시행에 맞춰 지난 4월부터 지급된 PPP 론 대출 규모는 5,180억달러로 전국 500만개에 달하는 중소업체에 평균 10만5,000달러씩 지급됐다. 이 가운데 뉴욕주는 한인업체 포함 32만4,000여 업체에 383억5,000만달러의 대출금이, 뉴저지주도 한인업체 포함 14만7,000업체에 172억달러의 대출금이 시중에 풀렸다.
PPP 론이 한인 소상인들에게 일종의 ‘생명선’이 되었다는 점은 이견이 없다. 대출금으로 직원들을 해고하지 않고 급여를 지급하면 상환 의무가 없는 PPP 론은 한인 소상인들의 숨통을 틔어줬다는 설명이다. 문제는 PPP 론으로 확보한 대출금 잔고가 얼마 남지 않았음에도 뉴욕시의 경제정상화가 제한적으로 이뤄지면서 경기회복의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데 있다.
플러싱 소재 한 식당의 대표는 “PPP 론을 받아 직원 급여와 경비로 두 달 정도 버텨왔지만 이제 대출금마저 고갈된 상태”라며 “4단계 경제정상화로 실내 영업이 재개될 것으로 기대했는데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오픈 레스토랑’만 10월까지로 연장 돼 앞으로 3개월을 더 견뎌내야 하는 상황이 됐다”고 말했다.
맨하탄 32가 한인타운에서 한식당을 운영하고 있는 한 대표 역시 “PPP 론 대출금으로 겨우 연명해 왔다”며 “‘오픈 레스토랑’ 설치비용으로 5,000여 달러를 지출했는데 매상은 10%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어 운영에 애를 먹고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PPP 론을 받은 중소업체들의 대출금 잔고가 줄면서 다음 달 초가 되면 84%의 중소업체가 받은 대출금이 모두 소진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재 연방의회에서 추가 지원금 규모와 방법을 놓고 줄다리기가 펼쳐지면서 지원금 추가 지급마저 불투명해지며 지연되고 있다. 게다가 추가 지원 규모가 1차에 비해 줄어들 전망이어서 이래저래 한인 업주들의 마음이 타들어가고 있다.
<
이진수 기자>